새달 30일까지 매주 토요일 세종대왕릉서 작은 음악회

새달 30일까지 매주 토요일 세종대왕릉서 작은 음악회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4-15 23:48
수정 2015-04-16 02: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화재청은 ‘세종대왕과 함께 음악을 즐기다’라는 주제로 오는 18일부터 다음달 30일까지 매주 토요일 세종대왕릉(영릉·英陵) 재실에서 작은 음악회를 개최한다.

이미지 확대
지역 문화재 활용 프로그램인 ‘생생문화재 사업’의 일환으로 열리는 이번 음악회에선 백성을 사랑하고 음악을 즐겼던 세종대왕의 인간적인 면모와 업적 등 인문학과 우리 고유의 전통음악이 어우러진다. 한글 창제, 애민사상, 과학과 발명 등 세종대왕과 얽힌 다양하고 흥미로운 이야기가 매주 주제를 달리해 찾아간다. 거문고·가야금·해금 연주, 판소리 등 다양한 공연이 별도의 음향장비 없이 국악기 본래의 소리와 소리꾼의 목소리만으로 펼쳐진다.

세종대왕은 중국 중심의 음악관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음악을 발전시키고자 힘썼다. 박연에게 궁중음악을 정리케 하고, 음의 길이를 명확하게 표기할 수 있는 악보집 ‘정간보’도 간행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종묘제례악을 비롯해 훈민정음으로 지은 용비어천가를 노래한 ‘여민락(與民)’ 등이 모두 세종대왕의 작품이다. 여주시청(031-887-2065)과 여주대 세종리더십연구소(031-880-5505)를 통해 공연 관람 신청을 접수한다. 사전 예약 없이 현장에서도 참여할 수 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4-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