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신과 함께’ 뮤지컬로…원작과 싱크로율 기대 UP

웹툰 ‘신과 함께’ 뮤지컬로…원작과 싱크로율 기대 UP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5-05-14 17:46
수정 2015-05-14 17: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예술단 창작가무극 7월 국내 초연… ·김다현·정동화 등 캐스팅

웹툰이 대중문화계 콘텐츠의 보고(寶庫)로 각광받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웹툰을 기반으로 한 대형 뮤지컬이 탄생된다. 인기 웹툰 작가인 주호민의 ‘신과 함께-저승편’(그림)이 서울예술단의 창작가무극으로 오는 7월 국내 초연되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신과 함께’는 저승 편과 이승 편, 신화 편 3부작으로 나뉘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에 걸쳐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연재됐다. 한국의 전통 신화 속 신의 세계를 현대사회에 접목시켜 인간의 운명에 대해 이야기하는 작품으로, 2012년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 선정한 ‘한국만화 명작 100선’에 이름을 올린 수작이다. 이 중 뮤지컬로 각색되는 저승 편은 주인공이 사후세계에서 49일 동안 저승시왕들에게 재판을 받으며 인생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이야기다. 정장을 입은 저승차사를 비롯, 10명의 저승시왕들과 도산지옥, 화탕지옥 등 전통 사후세계관이 현대의 한국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웹툰 독자들의 시선은 웹툰과 뮤지컬의 ‘싱크로율’로 쏠리고 있다. 주인공 김자홍은 39세에 간질환으로 죽은 인물로 외모는 중년에 가까우나, 가무극에서는 미남 배우인 정동화와 김도빈이 캐스팅됐다. 그 밖에 김자홍을 돕는 변호사 진기한 역은 김다현과 박영수, 저승차사 강림 역은 송용진과 조풍래가 맡는다. 주호민 작가가 트위터에 “원작보다 다들 엄청 잘생기셨다”고 평할 정도로 인물들의 외모 싱크로율은 높지 않다는 반응이 많다.

서울예술단은 무대미술과 춤, 음악 등 무대언어의 싱크로율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웅장한 음악 위에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을 활용한 안무로 죽음과 지옥을 형상화하고, 멀티 프로젝션과 LED 화면으로 현대화된 지옥을 구현한다. 김광보 연출과 변희석 음악감독, 박동우 무대디자이너, 차진엽 안무가 등 최근 공연계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창작진들이 의기투합했다. ‘잃어버린 얼굴 1985’ ‘소서노’ 등으로 한국 전통 예술을 현대적 뮤지컬과 결합시켜 온 서울예술단은 “한국적 콘텐츠를 개발하는 서울예술단의 정체성을 구체화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5-1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