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속 NFT 전시…은유 작가 ‘메타여신’ 시리즈 선보여

도심 속 NFT 전시…은유 작가 ‘메타여신’ 시리즈 선보여

입력 2022-07-27 16:24
수정 2022-07-27 16: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은유 작가는 30일 서울 지하철 동대문역 피아비스콤 전광판을 통해 NFT(대체불가토큰) 아트 컬렉션인 ‘메타버스 미솔로지’ 프로젝트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메타여신’으로도 불리는 이번 프로젝트는 중세시대의 스테인드글라스풍 요소와 현대적 양식을 결합한 독특한 작품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에 공개하는 작품은 7×12m 크기의 대형 디스플레이로 노출된다.

은유 작가는 “무한한 크기의 디지털 공간에 원본을 소유하고 언제나 감상할 수 있는 NFT 아트를 작은 화면으로만 감상하게 돼 늘 아쉬웠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기존 NFT 아트를 투기적으로 바라보는 편견을 없애고, 열려있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원본에 가까운 크기로 다가오는 작품을 통해 이미 우리 삶 속으로 다가온 메타버스와 현실의 화합을 이루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또 “많은 이들이 ‘메타여신’이 말하고 싶은 ‘모든 가치들의 아름다움’을 느끼길 바란다”고 전시 목적을 설명했다.

은유 작가의 메타여신 시리즈는 총 108개의 여신으로 그려지며, 2026년까지 보름에 1개의 작품씩 ‘오픈시’ 플랫폼을 통해 공개된다.

각 여신들은 술과 사랑, 탐닉 등 다채로운 주제를 담고 있으며, 여신이라는 피사체를 통해 은유 작가만의 스타일로 만들어진다. 이번 미디어 전시에서는 고흐와 클림트를 오마주한 여신이 등장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