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비극 만난 판소리, 애달픈 恨이 터졌다

그리스 비극 만난 판소리, 애달픈 恨이 터졌다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0-12-06 21:50
수정 2020-12-07 0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연리뷰] 창극 ‘트로이의 여인들’ 4년 만의 귀환

옹켕센 연출 싱가포르·네덜란드 등서 찬사
인물별 악기 하나… 소리꾼 에너지에 집중
이미지 확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 중인 창극 ‘트로이의 여인들’은 그리스·스파르타 연합군과 10년간 전쟁을 벌인 뒤 참패한 트로이에 남겨진 여인들의 한을 절절하게 그려 낸다. 트로이의 여인들과 마지막 왕비 헤큐바(가운데·김금미 분)의 소리는 강렬하게 국악기와 어우러진다. 국립창극단 제공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 중인 창극 ‘트로이의 여인들’은 그리스·스파르타 연합군과 10년간 전쟁을 벌인 뒤 참패한 트로이에 남겨진 여인들의 한을 절절하게 그려 낸다. 트로이의 여인들과 마지막 왕비 헤큐바(가운데·김금미 분)의 소리는 강렬하게 국악기와 어우러진다.
국립창극단 제공
10년간 이어진 전쟁은 끝나도 끝난 게 아니었다. 오히려 패전국 여인들에겐 더욱 잔혹한 참상이 기다리고 있었다. 남편과 아들들이 전쟁으로 죽고 떠난 뒤 여인들은 승전국 노예로 끌려 갈 운명에 놓였다. 폐허가 된 고국을 떠나기 전 몇 시간, 피끓고 몸서리치도록 아픈 한(恨)이 절절한 판소리와 만나 터져 나온다.

창극 ‘트로이의 여인들’은 판소리라는 장르가 가진 힘의 한계를 시험하는 듯한 작품이다. 우선 무대를 세계로 뻗어나가도록 한 시도는 성공적이었다. 애초 출발부터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둔 만큼 서구는 물론 여러 문화권에서 익숙한 에우리피데스의 그리스 비극을 소재로 했다. 가장 아름다운 여인이 불씨가 돼 트로이와 그리스·스파르타 연합군이 10년간 벌인 참혹한 전쟁의 상흔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소재로 충분했다.

싱가포르예술축제 예술감독을 맡고 있던 옹켕센의 연출로 2016년 11월 국립극장에서 초연한 뒤 2017년 싱가포르, 2018년 영국·네덜란드·오스트리아의 페스티벌 무대에서 찬사를 받았다. 올해 프랑스와 미국 공연도 초청됐지만 코로나19로 이뤄지지 못했고 지난 3일부터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국내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전 세계로 넓힌 무대를 가득 채우는 음악은 오롯이 우리 전통 판소리였다. 흰색 바탕 무대와 여인들의 흰색 의상은 매우 단출하다. 움직임도 최소화해 소리꾼들의 에너지를 온전히 소리에 담았다. 판소리를 세계적인 음악으로 알리고 싶다는 옹 연출의 주문도 더해진 결과다.
이미지 확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 중인 창극 ‘트로이의 여인들’은 그리스·스파르타 연합군과 10년간 전쟁을 벌인 뒤 참패한 트로이에 남겨진 여인들의 한을 절절하게 그려 낸다. 전쟁의 씨앗이 된 헬레네(김준수 분)를 감싸는 스파르타 메넬레우스 왕(최호성 분)의 소리는 애절하게 국악기와 어우러진다. 국립창극단 제공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 중인 창극 ‘트로이의 여인들’은 그리스·스파르타 연합군과 10년간 전쟁을 벌인 뒤 참패한 트로이에 남겨진 여인들의 한을 절절하게 그려 낸다. 전쟁의 씨앗이 된 헬레네(김준수 분)를 감싸는 스파르타 메넬레우스 왕(최호성 분)의 소리는 애절하게 국악기와 어우러진다.
국립창극단 제공
무대 앞에 7개의 악기가 놓였지만 반주도 고수 한 사람만 있는 판소리답게 캐릭터별로 하나의 악기만 상징적으로 사용된다. 트로이 마지막 왕비 헤큐바(김금미 분)의 강렬한 소리를 거문고가 묵직하게 받쳤고 갓난아기 아들까지 빼앗기는 안드로마케(김지숙 분)의 애끓는 심정은 아쟁이 따라갔다. 복수심에 불타는 공주 카산드라(이소연 분)는 대금이 짝을 지었다. 전쟁의 원인이자 트로이 멸망의 씨앗이 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 헬레네(김준수 분)는 유일하게 국악기가 아닌 피아노 반주로 소리가 이어졌다. 트로이 여인들과의 경계를 뚜렷이 한 것이다. 배삼식 작가의 글을 바탕으로 안숙선 명창이 작창하고, 정재일 음악감독이 선율을 만들어 애달픈 이야기를 견고히 쌓았다. 대본과 악보에 그리지 못한 무수한 감정은 소리꾼들이 거칠면서도 뜨거운 울림으로 터뜨렸다.

처절한 분노와 슬픔이 극대화되는 110분, 결국 신들을 원망할 수밖에 없는 잔인한 운명 앞에 선 여인들의 절규는 관객들의 기력까지 쏙 빼놓을 만큼 몰입도가 높다. 헤큐바와 여인들은 끝내는 “버티어 서라! 우리는 누구도, 아무도, 제 발로 걸어 트로이를 떠나지 않을 것이다!”라고 외친다. 어떤 운명이 닥쳐도 버티어 선다는 트로이 여인들의 힘이 어쩐지 지금 우리에게 주는 용기 같기도 하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0-12-0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