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의 광주, 달라진 ‘광주’

그날의 광주, 달라진 ‘광주’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1-04-19 17:18
업데이트 2021-04-20 02: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엄군 미화·트로트 장면 빼고, 5·18 에너지는 그대로 ‘재연’ 무대

이미지 확대
뮤지컬 ‘광주’.  라이브 주식회사·극공작소 마방진 제공
뮤지컬 ‘광주’.
라이브 주식회사·극공작소 마방진 제공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보통의 광주 사람들 이야기를 다룬 뮤지컬 ‘광주’가 새 단장을 한 뒤 관객들을 맞고 있다. 지난해 10월 초연한 뒤 5월 18일을 앞두고 서울 LG아트센터에서 재연 무대를 준비했다.

고선웅 연출은 지난 15일 프레스콜에서 “많이 바꿨다”고 운을 뗐다. 초연 때 편의대 미화 논란이 있었고, 트로트 장면은 5·18을 너무 가볍게 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고 연출은 “관객들의 리뷰를 보고 (창작진이) 의도했던 바와 관객들과 차이가 있던 부분을 보완했고 음악도 손질해 이야기와 작품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고 말했다.

‘광주’는 1980년 5월 27일 새벽 전남도청을 지켜 낸 이들을 이야기한다. 시민들을 폭도로 몰기 위해 시위대에 파고든 계엄군 편의대원 박한수가 죄책감을 느끼고 괴로워하다 신념을 바꾸는 초연 설정이 조금 달라졌다. ‘제대를 앞둔 말년 병장’이었던 박한수는 광주에서 태어나 중학생까지 살았다가 10년 만에 편의대원으로 투입돼 광주에 익숙함과 낯섦을 동시에 갖고 있는 인물이 됐다. 초연 멤버인 민우혁과 새로 합류한 B1A4 신우가 박한수를 열연한다. 시위대 품에 들어간 박한수의 마지막 선택도 크게 달라졌다.

‘임을 위한 행진곡’ 속 주인공인 윤상원 열사를 모티브로 한 야학교사 윤이건의 카리스마도 커졌다. 초연 때 연기했던 민영기와 새 얼굴인 김종구가 윤상원으로 분해 무대 중심을 단단히 잡는다.

시위 도중 잡혀가 세상을 떠난 오용수가 반짝이 재킷을 입고 트로트풍의 노래를 부른 ‘마음만은 알아주세요’ 넘버는 재연에선 빠졌다. 트로트로 광주의 희생을 가볍게 다뤘다는 지적 때문이었다. 대신 ‘훌라훌라’, ‘아무 일 없던 것처럼’, ‘임을 위한 행진곡’ 등 핵심 넘버들에 더 힘이 실렸다. 최우정 작곡가는 “거대한 역사의 물결 속에서 한 흐름을 구성했던 개개인의 사연과 아픔들을 음악에 담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초연부터 일관된 것은 ‘광주’를 노래하는 에너지와 마음이다. 여전히 무대 위엔 춤과 노래가 가득하고 시민들은 웃음을 잃지 않는다. 슬픔을 상반된 감정으로 대비시켜 극대화하는 고 연출 특유의 색깔은 훨씬 짙어졌다.

고 연출은 “딛고 일어서서 노래하고 춤추고 사랑하자는 뜻은 그대로”라면서 “더이상 광주가 현재진행형이 아니고 모두가 진실을 받아들여 과거를 잘 딛고 춤추고 노래하고 행복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1-04-20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