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노동자의 가슴저린 이야기

여성노동자의 가슴저린 이야기

입력 2010-05-29 00:00
업데이트 2010-05-29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울지 말고 당당하게】하종강 지음/이숲 펴냄

책을 읽다 느닷없이 내동댕이친다. “뭐 이런 경우가 다 있어!”라고 소리치는 것도 잊지 않는다. 그러다가 슬그머니 다시 책을 끌어다 손에 얹어 놓는다. 불과 몇 분 뒤 다시 그 책은 방바닥 한 귀퉁이에 내팽개쳐져 있다. 그러길 몇 차례. 어느새 책은 마지막 장이지만 가슴은 여전히 답답하다. 뭔가 묵직한 것에 짓눌리는 듯한 느낌이다.

‘울지 말고 당당하게’(하종강 지음, 이숲 펴냄)는 그런 책이다. 화가 나도 참을 수밖에 없고, 어떻게 해도 해답을 찾을 수 없는 갑갑한 현실을 나열하고 있다. 책은 저자가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접했던 이 땅의 ‘근로 여인들’의 참담한 삶을 다루고 있다.

‘그 당시 우리는 점심으로 싸 가지고 온 찬밥을 여자 화장실 맨 구석 좁은 한 칸에서 둘이 무릎 세우고 먹었습니다. 학생들이 바로 옆 칸에 와서 소리를 내며 용변을 보면 우리는 소리 안 나게 씹었습니다.’

한 대학교에서 청소 용역 노동자로 일하고 있는 아주머니가 겪은 내용 중 일부다. 노동조합이 없는 대학에서 환경용역 노동자들이 쉴 공간은 없다. 너른 대학 캠퍼스이지만 보란 듯이 잔디밭에서 도시락 펴놓고 먹자니 ‘윗분’들 눈치가 보이고, 궁여지책으로 생각해 낸 것이 화장실이었던 게다.

책은 이처럼 우리 사회의 온갖 부조리한 현실을 들춰낸다. 그러나 책 속의 ‘여인’들이 할 수 있는 일이란 어떤 어려운 일이 생기더라도 ‘울지 말고 정정당당하게’ 맞서는 것뿐이다. 미화원 이야기를 포함해 이런 예가 39가지나 계속된다. 그러니 화가 나지 않을 도리가 없다. 공연히 애꿎은 책에 화살을 돌릴밖에.

저자는 여느 책 말미에서 흔히 보듯 밝은 세상에 대한 결의나 다짐, 확신 한마디 건네지 않은 채 끝을 낸다. 독자들에게 분노나 반성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방점을 찍지 않은 글. 결국 부조리한 현실은 지금도, 앞으로도 계속된다는 웅변과도 같다. 저자는 “담담하게 썼다.”고 하나 결국 해답은 없다는 냉소가 읽혀지는 것도 그런 까닭이다. 1만 2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0-05-29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