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

[책꽂이]

입력 2011-01-22 00:00
수정 2011-01-22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형 리더십을 말한다(서성교 지음, 원앤원북스 펴냄) 보편성 속에 오롯이 담겨 있는 특수한 가치가 있다. 리더십 역시 마찬가지. 서구의 것도, 중국의 것도 아닌 우리만의 리더십을 명확히 해야 미래의 한국 사회상 역시 선명해질 수 있다. 미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 정책 결정과 리더십 등에 대해 공부한 저자는 ‘한’(恨, 韓, 閑)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 속에 배어 있는 리더십의 원형을 풀어낸다. 1만 4000원.

●전환기 사회운동 패러다임의 재구성(이형용 지음, 휴머니즘 펴냄) 복잡다단하게 급변하는 세상에서 올바른 사상 하나 틀어쥐는 것은 중요하다. 여기에 구조적으로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인식 체계의 그물을 촘촘히 짤 필요가 있다. 정부, 비정부기구 등에서 두루 활동했던 저자의 총체적인 문제의식이 담겨 있다. 미래 기획의 담론을 고민하면서도 생생한 현장 사례와 실사구시적인 대안이 담겨 있는 이유다. ‘삶의 의미, 종교성, 휴머니즘, 그리고 거버넌스’라는 약간 길지만 친절한 부제를 달고 있다. 1만 6000원.

2011-01-2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