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이 어머니라면 소유하는 건 패륜

땅이 어머니라면 소유하는 건 패륜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람의 지리학】최창조 지음 서해문집 펴냄



흔히 풍수(風水)는 그저 묏자리를 잘 쓰고 좋은 집터를 잡는 고리타분한 미신쯤으로 인식되기 일쑤다. 실제로 풍수는 학문의 영역에 편입되기보다는 생활의 길잡이로 더 널리 사용되곤 한다. 그러나 풍수는 지질학, 지리학, 생태학, 심리학, 건축학의 요소를 모두 갖춘 자연의 해석 체계인 만큼 지금보다 훨씬 더 유용한 지혜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사람의 지리학’(최창조 지음, 서해문집 펴냄)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로서의 자생풍수를 강조한 책이다. 저자는 30여년간 풍수를 공부하고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던 국내 풍수지리 분야의 최고 전문가. “내 생각은 남들이 예전에 다 했다.”며 ‘망상록’이란 겸손한 부제를 붙였지만 책 속에 담긴 지식과 지혜의 부피가 녹록지 않다. 저자가 읽은 방대한 문학작품과 역사·인문서·신문·잡지 등에서 뽑은 350여 가지의 인용구를 읽다 보면 차라리 ‘사람의 지리학’보다 ‘책의 지리학’이란 제목이 더 나을 듯싶다.

저자는 우선 지표현상을 다루는 지리학은 모두 사람살이와 관계되는데도 한사코 사람을 떼어놓은 채 지표현상에만 매달리는 연구풍토에 의문을 제기한다. 책 제목 그대로 ‘사람의 지리학’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래서 책을 일관되게 관통하는 메시지는 ‘땅을 어머니로 보자’는 것이다. 땅은 소유와 이용의 대상인 물질이 아니라 아끼고 보살펴야 하는 어머니라는 주장이다. 그래서 이기적인 발복의 수단과 부의 과시 수단으로 변질된 풍수를 강하게 비판한다. 나아가 4대강 사업이며 행정수도 이전처럼 땅과 관련된 현안도 땅을 어머니로 보는 자생풍수의 관점에서 볼 때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저자에 따르면 결국 ‘좋은 땅이란 없는 셈’이다. 땅과 사람이 상생의 조화를 이루었는지, 그러지 못했는지의 문제만 남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누가 감히 어머니(땅)를 이용할 수 있고 누가 어머니(자연)를 소유하는 패륜을 저지를 수 있겠는가.”라고 묻는다.1만 5000원.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2011-05-14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