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남성의 폭력성이 전쟁 일으킨다

젊은 남성의 폭력성이 전쟁 일으킨다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전쟁 유전자 】말콤 포츠·토머스 헤이든 지음 박경선 옮김 개마고원 펴냄

‘인류의 역사는 전쟁이다.’ 이 말에 대한 뒷받침으로 역사상 전쟁이 없었던 기간은 268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전쟁은 누가 일으켰을까. 그냥 편하게 남자냐 여자냐를 놓고 따져 보자. 동서고금의 모든 전쟁은 남성 안에 있는 ‘전쟁 유전자’ 때문에 발생한다는 이론이 제기됐다.

우리 인간은 전쟁을 한시도 그만두지 못하는 까닭도 ‘유전자’ 때문이라는 것이다. 반면 우리 누구나 전쟁과 테러가 없는 세상에서 살기를 원한는 갈망도 있다.

최근 출간된 ‘전쟁 유전자’(말콤 포츠·토머스 헤이든 지음, 박경선 옮김, 개마고원 펴냄)는 전쟁의 본질을 분석하면서 인간 전체보다는 남성의 폭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자들은 흥미롭게도 상대를 잔혹하게 공격하려고 하는 기질은 거의 젊은 남성에게서만 나타난다고 했다.

여성들 역시 전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기는 하지만 열정적으로 전선에 뛰어드는 것은 거의가 남성이며 여성은 덜 공격적이라는 나름대로의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 책의 부제 ‘전쟁의 생물학적 기원과 더 나은 세계로 가는 길’에서 보듯 내용이 다소 거칠다는 느낌도 있다.

하지만 꼼꼼히 살펴보면 생식의학자와 저널리스트가 함께 풀어가는 전쟁과 폭력의 생물학적 기원을 진지하게 밝혀내고 있다. 인간과 가까운 포유류들의 폭력 성향 등을 관찰한 저자들은 “동물의 왕국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인간의) 동종 살해는 그러한 성향을 강하게 보일수록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다음 세대에 유전자를 전달할 가능성이 더 높았기에 인류 역사의 초기부터 진화해 온 남성의 행동”이라고 말한다.

저자들이 소개하는 칭기즈칸의 사례는 흥미롭다. 남성이 전쟁을 통해 얼마나 큰 진화적 이익을 거둘 수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특히 2003년 각국의 유전학자들이 중앙아시아인을 대상으로 DNA를 분석해 결과를 발표했는데 놀랍게도 전체 남성의 8%가 동일한 Y염색체를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남성 열두 명 가운데 한 명꼴로 모두 동일한 남성 조상을 가졌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진화 역사에서 전쟁을 통해 가장 이득을 본 것은 젊은 남성들이었으며 남성 집단의 입장에서는 상대부족을 죽이고 여성을 약탈하면, 더 많은 자원을 얻고 더 많은 자손을 낳을 수 있었다고 저자들은 설명한다. 2만 5000원.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1-05-14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