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선이 콕콕 박힌 팬케이크, 흰 눈밭과 다홍빛 노을이 맞닿은 남극의 풍광, 갈색 반점마저 실감나게 찍힌 펭귄 알 무더기, 엄마 품을 파고들듯 장화 속에 하나씩 들어앉은 점박이 알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안녕, 폴’은 재기 넘치는 시각적인 장치로 먼저 시선을 멈추게 하는 동화다. 평면 드로잉에서부터 갖가지 소품을 활용한 세트 구성, 사진 촬영에 그래픽 작업까지. 하나하나 손이 가는 정교한 표현 기법이 인간과 동물의 교감을 담은 이야기와 맞물리면서 한 편의 애니메이션 같은 그림책이 완성됐다.
살아있는 것이라면 모두 생존을 위해 분투해야 하는 남극. 남극기지 대원들을 위해 매일 밥상을 차려내는 이언의 눈에 수상한 친구가 포착된다. 쓰레기를 뒤지더니 주섬주섬 끌고 가는 아기 펭귄, 폴이다.
매일매일 이언을 찾아오지만 “집은 어디니?” “친구들은 어디 있어?”라는 이언의 질문 세례에는 입을 꼭 다무는 폴. 눈 폭풍이 몰려온다는 예보가 있던 날, 대원들은 살금살금 폴의 뒤를 밟는다. 대원들이 발견한 것은 허겁지겁 발걸음을 옮기는 폴과 부화하지 못하고 깨진 채 얼어붙은 알 무더기. 폴의 절박한 상황을 그제야 알아챈 대원들은 힘을 합쳐 엉뚱하고 기발한 알 부화 작전을 펼친다.
작가는 한 다큐멘터리에서 남극기지를 등지고 걸어가는 펭귄의 뒷모습을 보고 이야기에 착안했다. 지구 온난화라는 엄혹한 현실과 인간과 펭귄이 어우러지는 판타지가 결합되면서 독자들에게 다양한 감정을 불러 일으킨다. 지난해 볼로냐 아동도서전에서 ‘가장 독특한 그림책 5’에 선정돼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중국, 태국에도 판권이 수출됐다. 5세 이상.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3-0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