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동굴안 도마뱀’ 안 할래
이경혜 지음/이은영 그림/바람의아이들/248쪽/1만 1000원‘수와수와 바람 소리, 끼룩끼룩 익룡 소리, 사그랑사그랑 도마뱀 소리….’
백악기 전남 여수 앞바다의 작은 섬, 사도는 일곱 빛깔 깃털을 지닌 무지개 공룡들의 터전이다. 이 가운데 유일하게 귀를 가지고 태어난 보랏빛 아기 공룡 수와에게 세상은 ‘소리’로 먼저 다가온다.


특별한 귀 덕분에 천적인 육식 공룡, 타르보사우루스가 다가오는 소리를 가장 먼저 알아채는 그는 무지개 공룡들의 파수꾼이 된다. 하지만 큰 산 두 개를 넘어온 악어 공룡 시루가 엄마 품에서 하루를 마감하던 그의 평온한 일상을 뒤흔든다. 사는 곳이 섬이라는 곳도 몰랐던 수와에게 시루가 말하는 바다란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이다. 시루는 그에게 모험가의 피가 끓게 하는 발동을 걸어온다. “너처럼 세상을 모르는 공룡을 우리는 ‘동굴 안 도마뱀이라고 하지. 조그만 동굴이 세상 전부인 줄 안다니까.’”
육식 공룡과 초식 공룡의 기묘한 동행은 바다를 만나면서 절정을 이룬다. 수와는 바다 앞에서 온 세상에 노래가 가득 차 울리고 있다는 걸 깨닫는다. 철썩철썩, 쑤와쑤와. 바닷소리는 수와와 시루가 알 속에서 듣던 소리이자 모든 아기들이 세상에 나오기 전에 듣는 소리라는 것도.
동화는 자연이 품고 있는 갖가지 소리를 재미있는 의성어로 나타내 눈보다 귀를 더 쫑긋하게 한다. 수와 덕분에 무지개 공룡들뿐만 아니라 독자들도 소리와 노래가 얼마나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지 귀를 기울이게 된다. 7000만년 전 공룡이 사도의 해식동굴 앞에 남긴 발자국을 보고 동굴 앞에 동그라니 앉아 있는 공룡을 마음속에 품기 시작했다는 작가는 서정적인 문체로 오래전에 사라진 공룡들을 불러내 세상에 없는 소리를 들려준다. 초등생용.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8-2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