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미 장편소설 ‘모두 깜언’ & 황선미 동화 ‘고작해야 364일’
베스트셀러 작가 김중미·황선미의 작품이 나란히 나왔다. 두 작품 모두 어린이나 청소년의 성장을 다뤘다.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작가 김중미는 청소년 장편소설 ‘모두 깜언’(왼쪽·창비)을 냈다. ‘깜언’은 ‘고맙습니다’라는 뜻의 베트남어다. 내면에 상처를 안고 사는 강화도 농촌 여중생 유정이의 성장소설이다. 다문화 가정, 자유무역협정(FTA), 구제역 등 농촌 사회의 여러 이슈를 사실적으로 담았다. 서로 연대하고 고마워할 줄 아는 농촌 공동체 속 인물들의 따뜻한 마음이 훈훈한 감동을 자아낸다. 작가는 “작품 속 등장인물들은 누구나 크고 작은 결핍을 갖고 있다”며 “결핍은 사람과 사람을 맺어 주는 매개가 되고 서로 사랑하게 하는 힘이 된다”고 설명했다. ‘괭이부리말 아이들’을 쓰는 데 인천 만석동에서 13년이 걸렸고 이번 작품을 쓰는 데도 강화에서 13년이 걸렸다. 작가는 2001년 인천 만석동에서 강화 양도면으로 이사했다. 그는 “강화가 내 삶의 자리로 들어오는 데 10년이 넘게 걸렸다”며 “13년이 돼서야 농촌 이야기를 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황선미는 성장동화 ‘고작해야 364일’(오른쪽·forbook)로 돌아왔다. 364일 먼저 태어난 형 ‘윤조’ 때문에 설움의 나날을 보내는 동생 ‘명조’의 성장 드라마다. 할머니, 아빠의 사랑과 관심을 독차지하는 형 때문에 명조는 늘 불만이 팽배해 있다. 명조는 가족과 친구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법을 깨우쳐 간다. 조금은 아프고 억울한 시간들이 쌓이고 쌓여 단단한 어른으로 자랄 수 있다는 걸 배워 간다.
작가는 “누구나 조금씩은 감추고 싶은 게 있는데 그것 때문에 비뚤어진 어른이 된다면 너무 속상하다”며 “감추고 싶고 모자라는 부분을 다독이고 채워 가면서 자기 표현에 당당하고 다른 사람 앞에 멋지게 서는 개성적인 아이들로 커 나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2000년 출간한 ‘마당을 나온 암탉’은 100만부를 돌파했다. 2012년엔 폴란드의 ‘최고의 책’으로, 지난해엔 영국 워터스톤스와 인디펜던트지, 북셀러의 ‘올해의 책’으로 선정됐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2-1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