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클린 케네디, 낸시 레이건, 바버라 부시, 힐러리 클린턴, 로라 부시, 미셸 오바마, 멜라니아 트럼프…. 우리나라 대통령 부인 이름보다 남의 나라 미국의 퍼스트레이디 이름이 더 잘 떠오르는 것 같아 씁쓸하기도 한데, 아마도 그 존재감이 대통령 못지않아서일 것이다. 미셸 오바마가 특히 그렇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여론조사에서 남편보다 호감도가 높았다. 무려 68%. 이미 남편을 넘어선 미국의 리더다. 시카고 흑인 노동자의 딸로 태어나 불우한 환경을 극복하고 명문대에 진학한 모범생으로, 또 막대한 연봉을 받던 변호사 일을 때려치우고 사회 약자들을 위한 사회운동가, 탁월한 연설가로 열정적인 활동을 펼쳐 온 삶의 궤적을 좇을 수 있는 전기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7-09-1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