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가족의 ‘쓰레기 제로’ 10년 도전기

한 가족의 ‘쓰레기 제로’ 10년 도전기

김성호 기자
입력 2020-10-08 17:22
수정 2020-10-09 03: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쓰레기 거절하기
산드라 크라우트바슐 지음/박종대 옮김
양철북/252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차고 넘쳐나는 ‘과잉의 시대’, 그 한편에선 줄창 쓰레기 처리의 문제가 대두된다. 코로나19로 외출, 외식 대신 배달이 늘면서 폭증하는 1회용 용기 탓에 쓰레기 대란을 향한 우려가 연일 흘러나온다. 사람들은 환경 위기를 알면서도 대부분 신경 쓰지 않고 데면데면 살아간다.

‘쓰레기 거절하기’는 오스트리아 작은 마을의 한 가족이 실험을 통해 건져올린 효과적인 쓰레기 줄이기 교본이다. 딱 한 달만 해 보자며 시작한 ‘플라스틱 없애기’를 10년간 성공적으로 이어 간 체험이 흥미롭다. 실험이 곧 삶으로 이어지는 기간이 먹고 입고 움직이는 모든 생활 속에서 어떻게 쓰레기를 줄였는지 전달하지만, 강요하는 방식은 아니다. 특히 선택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가족들이 어떻게 서로의 생각을 나눠 공동 목표로 나아가는지 실감나게 보여준다.

이웃과 공동으로 소유한 ‘반쪽짜리’ 차를 타고 떠난 여름휴가에서 느낀 ‘물건으로부터의 해방감’, ‘2+1’ 판촉에 휘둘리지 않고 절반만 채운 냉장고로 가벼워진 이야기. 그렇게 줄이기의 삶을 통해 지출이 줄었다. 가족들은 ‘쓰레기 제로’ 삶을 위한 토론과 열정으로 훨씬 더 친밀하고 가까워졌다.

물론 쓰레기 줄이기는 결코 쉽지 않다. 책에도 가족들이 ‘플라스틱 제로’ 실험을 한 지 얼마 안 돼 완벽한 성공은 힘들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장면이 들어 있다. 맥주병과 잼 뚜껑에 붙은 합성수지 때문이다. 남편과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포기할 수는 없었다. 실험의 큰 원칙이 가족들에게 스트레스가 돼선 안 되고 재미였기 때문이다.

저자는 결국 실험을 할수록 물건들을 가능한 한 쓰지 않는 게 본질임을 알게 됐다고 강조한다. 가족 모두가 자기만의 방식으로 삶을 가볍게 꾸리면서 행복해진 것이 가장 값지다고 말한다. 부모가 보여 주는 선의의 도전에 때로는 동의하고 때론 저항하면서 자신의 뜻을 분명히 밝히는 세 아이가 치열하게 토론하는 과정은 또 다른 재미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20-10-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