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래가 30년 만에 ‘태백산맥’ 정독한 이유

조정래가 30년 만에 ‘태백산맥’ 정독한 이유

이슬기 기자
입력 2020-10-12 17:08
수정 2020-10-12 17: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등단 5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
“옛 작품은 새 작품의 적”
대하소설 3부작 첫 개정판 펴내
“내 소망은 글 쓰다 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

이미지 확대
등단 50주년 기자간담회 연 조정래 작가
등단 50주년 기자간담회 연 조정래 작가 조정래 작가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등단 5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0.10.12 연합뉴스
“30대 때부터 누가 ‘소망이 뭐냐’ 물으면 ‘글을 쓰다가 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다’라고 대답했습니다. 그 대답은 지금도 변함없습니다. 그렇게 최선을 다하는 하루하루를 살다보니까 여든이 다 된 나이가 됐습니다.”

‘황홀한 글감옥’이 시작된 지 꼬박 50년, 1970년 ‘현대문학’으로 데뷔한 조정래(77) 작가는 12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문학 인생을 되돌아보면서 회한에 잠겼다.

등단 50주년을 맞아 작가는 ‘태백산맥’과 ‘아리랑’, ‘한강’ 3부작을 퇴고한 첫 개정판을 내놨다. 30년 세월이 흘러서야 3부작을 처음 정독했다는 그는 “예술이 가지고 있는 숙명성 때문”이라고 했다. “‘태백산맥’이 ‘아리랑’의 적이며, ‘아리랑’이 ‘한강’의 적이라는 생각으로 잔인무도할 정도로 실감 나는 예술가의 길을 착실히 걷기 위해 옛 작품들을 전혀 거들떠보지 않았어요.” 개정 작업은 전라도 방언과 구어체의 느낌이 더 생생히 읽히도록 문장을 손보았다. 함께 출간한 산문집 ‘홀로 쓰고, 함께 살다’에는 독자들의 질문 100여개에 대한 응답을 정리, ‘인간 조정래′의 인생·문학·사회론을 담았다.

노(老)작가는 한국 문단과 사회에 쓴소리도 내뱉었다. 문단 후배들에게는 “1인칭으로는 대하소설을 쓸 수 없다”며 다그쳤고, ‘아리랑’을 두고 조작이라고 주장했던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를 두고는 “민족 반역자”라며 노기를 숨기지 않았다. 노벨문학상의 한국인 수상을 향한 염원에 대해서는 “초연하게 문학을 해 나가다 보면 오기도 하고 안 오기도 할 테니 큰 신경 쓰지 않는 게 좋다”고 했다. 코로나19 시대를 그는 “인간의 대량 생산과 소비, 대량 폐기를 미덕으로 삼아 왔던 자본주의가 불러온 재앙”이라고 했다. “이 기회가 인간들이 겸손해지고, 조금씩 불편하고 조금씩 가난해도 괜찮다는 ‘자족’을 느낄 수 있는 철학적 존재로 변화하기를 바란다”는 말을 덧댔다.

여든을 앞둔 나이지만, 작가의 창작열은 현재 진행형으로 끓어오른다. “2년 후 인간의 본질, 존재에 대한 문제를 탐구하는 작품 세 권, 3년 후에는 불교적 세계관에 입각, 현실부터 내세까지 아우르는 이야기를 세 권 쓰면서 장편소설 인생을 마감하겠습니다. 이후 단편을 50편쯤, 수필 5~6권을 쓰고 인생을 문 닫을까 합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