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께끼 같은 그림, 주인공부터 찾으세요

수수께끼 같은 그림, 주인공부터 찾으세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10-15 20:34
수정 2020-10-16 0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상식·재미 쑥쑥’ 미술 서적 3권

이미지 확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하향됐습니다. 모처럼 숨통이 트인 기분입니다. 그동안 문 닫았던 미술관에 들러 볼까 합니다. 미술에 대한 부담감이 있다면 이 책을 먼저 펼쳐봐도 좋겠습니다.

‘그림을 보는 기술’(까치)이 우선 눈에 들어옵니다. 그림의 구도, 선, 경로, 색감, 균형 등을 토대로 그림을 제대로 감상하는 기술을 설명한 책입니다. 저자는 미술가가 그림을 그릴 때 반드시 ‘의도’가 있다고 합니다. 그 의도를 알아채면 그림을 더 재밌게 볼 수 있는 거죠. 우선 주인공이 어디 있는지 판단하고, 미술의 구석구석을 본 뒤 균형을 살피라고 조언합니다. 그다음엔 색의 사용, 요소 배치를 알아야겠죠. 레오나르도 다빈치부터 빈센트 반고흐, 에드워드 호퍼에 이르는 각 시대 명화를 예시로 듭니다. 그림은 좋아하지만 어떻게 봐야 할지 잘 모르겠다 싶은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이미지 확대
‘예술가의 생각’(필요한책)은 고전 미술 대가들의 창작 비밀을 들여다봅니다. 위대한 창작자들이 그림을 그릴 때 어떤 생각을 했는지 저서, 개인적 기록, 편지 등을 통해 수집하고 그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62명의 미술가가 밝히는 207편의 기록엔 작품 제작 착수, 작품의 목표, 습작, 작업 방식, 디자인, 채색, 마감 등 미술 창작의 단계적 과정이 보입니다. 수록한 그림을 보면서 글을 읽으면 이해가 쑥쑥 될 것 같습니다.
이미지 확대
미술관 자체에 초점을 맞춘 책도 있군요. 세계적인 미술관들이 내부 사진 촬영을 허용하고 있는데, 관람객들의 ‘인증샷’ 문화 때문입니다. 일본 도쿄 모리미술관은 이런 동향을 발 빠르게 파악해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줄서는 미술관의 SNS 마케팅 비법’(유엑스리뷰)은 135일 만에 인스타그램으로 61만명 관람객을 모은 미술관의 인기 비결을 공개합니다. 딱딱한 미술관을 넘어 미술관으로 관객을 이끄는 아이디어가 또 다른 재미를 줍니다.

gjkim@seoul.co.kr



2020-10-1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