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가 건네는 이유 없이 다정한 위안

김연수가 건네는 이유 없이 다정한 위안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3-07-07 02:09
업데이트 2023-07-07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너무나 많은 여름이/김연수 지음/레저/304쪽/1만 6000원

2년 동안 서점 돌며 낭독한 글
‘살아갈 힘 내는 이야기’로 엮어
더 다정해진 위로의 문장 눈길


이미지 확대
지난 3월 경기 고양시 정발산동 동네 서점 ‘너의작업실’에서 열린 낭독회에서 김연수 작가가 독자들에게 자신이 쓴 짧은 소설을 들려주고 있다. 너의작업실 제공
지난 3월 경기 고양시 정발산동 동네 서점 ‘너의작업실’에서 열린 낭독회에서 김연수 작가가 독자들에게 자신이 쓴 짧은 소설을 들려주고 있다.
너의작업실 제공
#1. 아이를 잃은 ‘나’는 ‘같은 지옥’을 겪은 서점 주인을 만난다. 아이가 수학여행을 떠났다가 사고로 죽은 경주에 서점을 차린 그에게 ‘나’는 “어떻게 그런 일을 겪고도 여기 살 생각을 할 수 있었느냐”는 물음을 품고 온 참이다. 그는 경주를 찾은 날, 옛 무덤들을 보며 걷던 일, 비현실적으로 아름답던 보름달, 웃는 관광객들 속에서 울어도 아는 이 없어 좋았던 밤을 돌이키며 말한다. “울고 싶으면 마음껏 울어도 좋다. 여기선 얼마든지 걸어도 좋다. 이제 걸어 보겠느냐”고. ‘나’는 그와 함께 저무는 들판을 따라 걷기 시작한다.(‘저녁이면 마냥 걸었다’)

#2. ‘나’와 ‘궁금이’의 아파트 단지 산책은 늘 그 마로니에 나무 아래에서 ‘최고의 순간’을 맞았다. 그 아래 서면 ‘좋은 것들만 생각하자’는 환한 생각이 피었다. 그 사람과 살던 아파트를 떠나고, ‘궁금이’마저 떠난 뒤 재개발로 철거될 아파트를 검색했다가 “나무들을 사라지게 둘 수 없다”는 이들의 목소리를 발견한다. ‘나’는 나무를 지키려 나무에 대한 각자의 기억을 나누고 나무에 이름을 지어 주는 사람들과 연대하며 마로니에에 이름을 붙여 준다. ‘궁금이와 함께 웃는 나무’.(‘나 혼자만 웃는 사람일 수는 없어서’)
이미지 확대
정교하게 짜인 이야기로 어김없이 파동을 일으켜 온 김연수 작가가 독자들과 직접 얼굴을 마주하며 빚어낸 이야기로 돌아왔다. 분량은 짧지만 여운은 길다. 결국엔 손을 맞잡게 되는 사람들, 타인이 선 땅에 발을 내디뎌 보는 사람들, 절박한 이들을 품어 내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문장에 온기가 더해진 덕이다.

작가는 2021년 10월부터 올 6월까지 제주, 서울, 인천, 김해, 광주, 대구, 창원 등 전국 20여곳의 서점, 도서관 등에서 독자들에게 짧은 이야기를 낭독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때 들려준 이야기 20편이 새 소설집 ‘너무나 많은 여름이’로 묶였다.

‘작가의 말’에서 그는 2021년 가을 낮에 농사를 짓고 고단한 얼굴을 하고서도 제주 서귀포 대정읍의 한 서점 낭독회에 모여든 독자들을 보며 소설에 대한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다고 털어놨다. “지친 얼굴들, 하지만 한편으로는 새로운 삶을 기대하는 얼굴들. 그 얼굴들을 마주하고 나는 생각했다. 이 이야기들이 그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지금까지 그런 소설을 쓰지 못했다면 지금부터 새로 쓰겠다고.”

‘살아갈 힘을 내게 하는 이야기’를 만들겠다는 결심으로 쓰고 들려주고 다시 고친 글들이라서일까. 표제작을 제외하고 짧게는 원고지 16매에서 길게는 50매가 채 안 되는 단편들에서 “그의 소설은 더 다정해지고 친절해졌다”는 편집자의 말처럼 위로의 문장들이 도드라진다.

더이상 물러설 곳이 없어 얼결에 토해 낸 진심에 뜻밖의 해피엔딩이 찾아오기도 하고(‘위험한 재회’), 예고 없이 맞은 비극이 연극 같던 삶을 멈추고 생생한 감정들이 공존하는 진짜 삶으로 이끌어 주기도 한다(‘젖지 않고 물에 들어가는 법’). ‘우리는 저절로 아름답다’고, ‘오직 이유 없는 다정함으로 지금 쓰러져 울고 있는 땅 아래에 자신이 모르는 가능성의 세계를 실현시킬 수 있다’고 당부하면서.
정서린 기자
2023-07-07 17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