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고 레스토랑에 일본 ‘세잔’…한국은 4개 업소가 50위권

아시아 최고 레스토랑에 일본 ‘세잔’…한국은 4개 업소가 50위권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4-03-26 21:59
수정 2024-03-27 08: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아시아 최고 레스토랑에 선정된 일본 도쿄의 ‘세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eocm 제공.
아시아 최고 레스토랑에 선정된 일본 도쿄의 ‘세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eocm 제공.
아시아 최고의 레스토랑에 일본 도쿄의 ‘세잔’이 선정됐다. 한국의 레스토랑으로는 서울 강남의 ‘밍글스’ 등 4개 업소가 50위권 안에 오르는 성적을 냈다.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아시아 50br)은 26일 오후 8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호텔에서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 발표 및 시상식’을 열고 아시아 최고의 레스토랑 50곳을 선정, 발표했다. 1위를 차지한 도쿄의 ‘세잔‘은 아시아 50br이 선정한 ‘일본 베스트 레스토랑’의 영예도 함께 안았다. 2위 역시 일본 도쿄의 ‘프로릴레쥬’가 차지했다. 3위는 태국 방콕의 ‘가간 아난드’였다.

한국에서는 서울 강남의 ‘밍글스’가 13위에 올랐다. 이 업소는 ‘한국 베스트 레스토랑’의 영예도 함께 안았다. 이어 서울 강남의 ‘세븐스 도어’가 18위, 서울 종로의 ‘온지음’이 21위, 서울 용산의 ‘모수’가 41위에 각각 선정됐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오는 11월 서서울미술관 개관 앞두고 지역미술인들과 간담회 개최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지난 8일 오는 11월 개관을 앞둔 서서울미술관의 건립 및 개관 현황을 점검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기찬 의원을 비롯해 서울시립미술관 정소라 학예부장, 박나운 서서울미술관 관장, 지역미술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서울미술관의 개관 준비 상황과 향후 운영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서서울미술관은 금천구 독산동 1151번지 외 1필지(금나래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연면적 7186㎡, 부지면적 7370㎡(지상1층/지하2층) 규모로 서울시 유일의 ‘뉴미디어 특화 미술관’으로 건립되고 있다. 개관 전시로는 뉴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미디어 특화 기관으로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SeMA 퍼포먼스’와 ‘뉴미디어 소장품전’ 등이 계획되어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지역미술인들은 서서울미술관이 단순한 전시공간을 넘어 지역주민과 예술가들이 함께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지역참여형 공공미술관’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최 의원은 “2015년부터 시작된 서서울미술관 건립 사업이 10년여의 기간을 거쳐 마침내 결실을 보게 되어 기쁘다”면서 “서서울미술관이 서남권의 문화격차를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오는 11월 서서울미술관 개관 앞두고 지역미술인들과 간담회 개최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은 미쉐린 가이드와 함께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미식 평가 가이드다. 앞서 21일 발표된 51~100위에는 이타닉 가든(62위), 본앤브레드(64위), 솔밤(65위), 권숙수(89위), 알라 프리마(91위) 등의 국내 레스토랑이 이름을 올렸다. 23일 개막한 이번 행사에선 세계적인 셰프와 미식가, 평론가, 미디어 등 관계자 800여 명이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신라호텔, 포시즌스호텔 등에서 열리는 시상식과 만찬, 포럼 등 공식 행사에 참가했다. 이날 시상식엔 오세훈 서울시장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이 참석해 축사를 했다. 폐막은 27일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