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버스 대신 가득찬 ‘흙’

캔버스 대신 가득찬 ‘흙’

입력 2010-09-17 00:00
수정 2010-09-1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해 ‘오프 더 월-건축도자, 경계에서’展

‘건축도자’ 분야를 특화한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이 중견 작가 15인과 흙의 만남을 주제로 한 기획전 ‘오프 더 월-건축도자, 경계에서’전을 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강소의 ‘허(虛)’
이강소의 ‘허(虛)’
전시장은 캔버스 대신 흙과 도자판으로 제작한 작품들로 가득찼다. 참여 작가들은 점토와 유약, 도자판 등 평소 접해 보지 못했던 낯선 재료에 작가 나름의 개성을 살려 독특한 작품들을 완성했다.

첫번째 주제인 ‘흙을 그리다’에는 김호득, 이강소, 안규철, 유명균, 김춘수, 서용선 작가가 참여했다. 이들은 가로 40㎝, 세로 30㎝의 도자판에 그림을 그린 뒤 가마에 구웠다. 동양화가 김호득은 일필휘지로 거대한 폭포를 그렸고, 안규철은 도자판에 홈을 파고 그 안에 안료를 넣는 방식으로 드로잉 작품을 만들었다.

이강소는 하얀 백자 타일 위에 오리를 그린 회화 작품과 마구 주무른 흙을 아무렇게나 던지고 쌓아 구워낸 입체 작품을 나란히 전시했다. 코발트블루빛 도자판을 벽면에 창(窓)처럼 배치한 김춘수의 작품도 눈길을 끈다.

두번째 ‘건축에 옷을 입히다’는 대량생산되는 산업 타일에 김창열, 김홍주, 이영배, 박서보의 그림을 전사 프린트한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이나 판화처럼 복제생산 방식을 시도함으로써 예술의 대중화와 보편화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마지막 주제인 ‘흙으로부터’에는 심문섭, 원인종, 윤영석, 이우환, 이성갑이 만든 ‘구운 조각’들이 전시된다. 전시는 내년 2월27일까지. 관람료 2000원. (055)340-7000.



김해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09-1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