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소출판 인플레이션/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문화마당] 소출판 인플레이션/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입력 2019-08-21 17:18
업데이트 2019-08-22 0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은수 출판문화편집실 대표
장은수 출판문화편집실 대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18년 출판산업동향 보고서’가 발표됐다. 한국 출판산업의 상태 변화 추이를 살필 수 있는 유일한 공식 자료에 해당한다. 국민이 출판 실상을 알 수 있게 정확한 사실을 알리는 게 정부 산하기관의 임무일 터인데, 이상하게도 아무 보도자료 없이 자료실에만 올려 두었기에 내려받아 한 해 동안 출판산업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2018년 출판산업은 ‘소출판 인플레이션’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전체 산업 규모는 단행본 1조 1698억원, 교육출판 2조 8244억원 등 3조 9982억원으로, 전년 대비 0.1% 상승에 그쳤다. 그런데 해마다 출판사 수는 늘어나고 발행 종수는 폭증 중이다.

같은 해 말 기준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등록 출판사는 전년에 비해 6.3% 늘어난 5만 9306개다. 2013년 4만 4148개였으니 5년 만에 34.2%나 증가했다. 예전엔 출판 등록만 해 놓은 ‘좀비 출판사’가 많았지만, 최근엔 무실적 출판사가 줄어드는 추세다. 2018년 실적 출판사는 8058개로, 사상 처음 8000대에 진입했다. 2017년에 비해 13.6%, 2013년과 비교하면 40.4% 증가했다. 전자책, 만화, 잡지 등을 제외한 발행 종수도 8만 1890종으로 2017년 8만 130종 대비 2.2% 늘어나 8만 종을 넘어섰다.

101종 이상 발행 출판사는 121개로, 전년에 비해 9개사가 늘었다. 10종 이하 발행 출판사 역시 6625개로 1년 만에 259개 증가했다. 둘의 동시 증가는 출판 양극화의 한 지표로 읽힌다. 각각 연매출 50억원 이상 대형 출판사와 5억원 이하 소출판사의 평균 발행 종수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중형 출판사(31~50종 발행) 숫자가 221사에서 212사로, 중대형 출판사(51~100종) 숫자가 159사에서 150사로 줄어든 것도 좋지 않다. 종당 평균 판매량이 줄어들어 인건비, 마케팅비 등 고정비 부담이 커지면서 규모의 경제를 감당하기 힘든 중(대)형 출판사가 약해지고, 출판사 세포분열이 심해지는 징후로 읽힐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 상황이 어려운데도 도전이 줄지 않고 발행 종수가 늘어나는 역설적 상황, 즉 소출판 대팽창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무엇보다 좋은 책을 만들려는 출판인의 열정 덕분이겠지만, 이를 지탱하는 네 가지 현실적 힘이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모든 사람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글을 올려 독자를 확보하는 ‘누구나 저자, 모두가 출판사 시대’의 개막, 교정교열·디자인·인쇄 및 제작·영업 등 생산 및 영업의 서비스화, 인터넷서점이나 대형 체인서점의 판매 비중이 높아지는 등 단행본 유통 용이성의 증가, 텀블벅·와디즈 등 소셜 펀딩 업체를 활용한 독자 직접 투자의 활성화 등이다.

출판산업 전반의 자본 수익률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환경은 소출판사들이 작지만 강한 책으로 초니치(niche)시장을 공략하는 등 오히려 종 다양성을 늘리면서 다품종 소량생산 전략을 택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중대형 출판사는 몸집 때문에 이 길을 택하기 힘들다. 과감한 투자를 통해 지금껏 없었던 제품이나 시장을 개척하는 등 사업 자체를 혁신하는 길로 나설 수밖에 없다. 그러지 않으면 규모의 위축을 피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물론 소출판 인플레이션은 그 자체로 오래 지속될 수 없다. 출판인들의 열의가 사그라지기 전에 독자 공동체 활성화 등 사회적 독자 개발에 나서야 한다. 도서관 장서량을 늘리는 등 국가적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고, 출판사가 모험 투자에 나설 때 도움받을 출판펀드 사업이 조속히 시행돼야 한다. 마지막으로, 출판 종합정보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책의 실제 판매량 등을 알지 못하는 깜깜이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정부와 출판 단체의 무관심이 안타깝다. 내년에는 무엇보다 이 보고서 자체가 혁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19-08-22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