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작가는 까치… 버려졌지만 반짝이는 걸 찾아 엮어내죠”

“작가는 까치… 버려졌지만 반짝이는 걸 찾아 엮어내죠”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9-28 20:48
업데이트 2020-09-29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간 출간한 ‘노벨문학상’ 토카르추크

폴란드, 수난의 역사 지닌 한국과 비슷
‘주류’에 의문 품는 독보적 잠재력 지녀
‘낮의 집…’ ‘죽은 이들의 뼈…’ 국내 출간
여성 서사·동물권 보장 문제 적극 조명
“헌법에 동물의 권한 명시해야” 강조
이미지 확대
올가 토카르추크 폴란드 작가  ⓒKarpati&Zarewicz/ZAIKS
올가 토카르추크 폴란드 작가
ⓒKarpati&Zarewicz/ZAIKS
“까치는 쓰레기 더미를 뒤지며 그 속에서 장신구나 사탕 포장지 등 온갖 반짝이는 것들을 찾아내 자신의 둥지로 물고 옵니다. 이따금 제가 까치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201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폴란드의 작가 올가 토카르추크는 미국 작가 필립 딕의 말을 빌려 “작가는 까치와 같다”고 했다. “버려졌지만 여전히 반짝이는 것, 하지만 다른 사람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것들을 발굴해 오랫동안 간직하고 적절한 순간이 찾아왔을 때, 그것들로 소설을 엮어 낸다”는 말이다.

토카르추크는 신간 2권의 출간에 맞춰 서면 인터뷰의 답을 보내왔다. 인터뷰 번역은 신작 중 하나인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를 옮긴 최성은 한국외국어대 폴란드어과 교수가 도왔다.

폴란드에서 배출된 다섯 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토카르추크는 스스로 중부 유럽, 폴란드 출신이라는 정체성을 강하게 의식하고 있다. 그는 폴란드를 “서구 문화권과는 일정한 거리를 둔 ‘경계의 문화’”라고 말하며 “역사적·지정학적 특수성으로 모든 종류의 영향에 늘 개방적인 것이 폴란드 문학의 독보적인 잠재력”이라고 봤다. “‘중앙’으로부터 동떨어진, 뻔하지 않은 것들, ‘주류’에서 당연시하는 것들에 의문을 품게 만드는 것들”이다. 2006년 서울국제작가축제 참석차 방한했던 그는 “한국은 사람들의 기질, 강대국에 둘러싸인 수난의 역사, 일을 대하는 자세 등에 있어 폴란드와 비슷한 점이 상당히 많다”고 전했다.

‘별자리 소설’은 토카르추크의 독특한 이야기 방식이다. 단문이나 짤막한 에피소드들을 엮어 하나의 이야기로 빚어내는 특유의 내러티브 방식이다. 전작 ‘방랑자들’이 그랬고, 신간 ‘낮의 집 밤의 집’도 그렇다. 그는 이를 두고 “윈도 창을 여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사고”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는 다양한 창들의 연결고리를 찾으려 애쓰지 않습니다. 실제로 관계의 연결고리들은 엄연히 존재하고, 우리의 정신은 흩어져 있는 개별적 사안들을 얼마든지 연결할 수 있는데도 말이죠.”

‘태고의 시간들’을 통해 20세기 폴란드 역사의 뒤편에서 잊힌 여성 서사를 복원한 토카르추크는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에서는 동물권을 적극 조명했다. “꽤 오래전부터 인간과 인간이 아닌 존재를 구분하고 구별하는 기준이 무엇일까 고민해 왔다”는 그는 “동물의 권한을 헌법에 명시함으로써 그들의 권리를 보장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카르추크는 노벨상 상금으로 자신의 이름을 내건 재단을 설립, 동물권 보장에 앞장서는 환경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9-29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