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조국흑서팀 분열?…진중권 “선동가” 비난에 서민 사과

조국흑서팀 분열?…진중권 “선동가” 비난에 서민 사과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1-04-10 09:52
업데이트 2021-04-11 2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 길원옥 할머니의 갈비뼈 골절에도 유럽을 다녔다며 윤미향 의원을 정인이 양모보다 나쁜 악마라고 비판

‘조국 사태’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천년의상상)의 필진. 강양구 미디어 전문 재단 TBS 과학 전문 기자, 권경애 법무법인 해미르 변호사, 김경율 경제민주주의21 공동대표,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등 5명이 공동으로 집필했다. 왼쪽부터 김경율, 강양구, 진중권, 권경애, 서민.  2020.8.24  천년의상상 제공
‘조국 사태’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천년의상상)의 필진.
강양구 미디어 전문 재단 TBS 과학 전문 기자, 권경애 법무법인 해미르 변호사, 김경율 경제민주주의21 공동대표,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등 5명이 공동으로 집필했다. 왼쪽부터 김경율, 강양구, 진중권, 권경애, 서민. 2020.8.24
천년의상상 제공
문재인 정권을 비판하는 책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를 함께 쓴 이른바 ‘조국흑서’ 팀의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를 비판해, 서 교수가 사과에 나섰다.

진 전 교수는 10일 서 교수가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아동학대로 사망한 정인이 양모보다 나쁜 악마라고 주장하자 “이제 선동가가 다 되었군”이라며 “비판을 하는 최악의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양적으로는 턱없는 과장 질적으로는 정적의 악마화”로 비판이 아니라 선동이라며 서 교수와 같이 갈 수 없겠다고도 했다.

권경애 변호사도 “공론을 담당해야 할 정치 영역을, 선정적 엔터테인먼트의 오락거리로 소비하게 만드는 관종적 행태로 ‘혐오의 정서’를 전파하며 인기를 얻고자 하는 자들은, 매우 해롭다”면서 서 교수에 대한 비판에 가세했다.

서 교수는 윤 의원이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의 갈비뼈 골절 통증에도 유럽행을 감행했다는 여명숙 전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 유튜브 내용과 관련해 윤 의원을 비판했다.

서 교수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2017년 윤미향은 길 할머니를 유럽에 끌고가는데 할머니께서 넘어졌거나 아니면 다른 이유로 다치신 모양”이라며 “현지에서 응급처치를 한뒤 일정을 취소하고 귀가하는 게 맞는데 할머니를 끌고 예정된 일정을 다 소화하고, 귀국한 뒤 계속 아파하기에 병원에 모시고갔더니 갈비뼈 4개 이상 골절. 이쯤되면 욕이 나오네요”라고 밝혔다.
2019년 “길원옥 할머니 91번째 생신 생신 축하해요”
2019년 “길원옥 할머니 91번째 생신 생신 축하해요”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의 91번째 생일에서 축하 인사를 하는 모습. 윤 의원은 13일 페이스북에 1년 만에 돌아온 길 할머니의 생신을 94번째로 명기해 논란이 일었다. 정의기억연대 홈페이지 캡처.
윤 의원은 길 할머니의 부상에도 치료를 하지 않고 해외 일정을 진행했다는 주장에 대해 “독일 방문 중에 갈비뼈 골절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나 정황은 없었다”면서 허위사실 유포 행위를 멈추라고 촉구했다.

서 교수는 진 교수의 선동가란 비판에 실망시켜 죄송하다며 “지식도 일천한 제가 조국흑서 팀에 낀 것 자체가 제 분에 넘치는 일이었다”면 “그런데도 저를 내치지 않고 조국흑서 저자의 일원으로 대접해 덕분에 제가 마치 큰일이라도 하는 냥, 여기저기 나댈 수 있었다”고 감사해했다.

이어 서 교수는 자신의 사과 글에 대한 진정성이 의심받자 “어찌됐건간에 정권교체를 바라시는 분들께 걱정을 끼쳐드려 죄송하다”면서 “조국흑서팀 저자들도 책 출간 뒤엔 각자 활동하고 있었고 앞으로도 전 그전에 하던대로 열심히 정권을 깔 거니 너무 걱정 마시길 빈다”고 당부했다.

또 정권이 교체된 뒤 쌍꺼풀수술을 하고 원래 자리인 기생충연구로 돌아갈 그날을 손꼽아 기다려 본다며 특유의 유머를 잃지 않았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