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식물카페, 온정

영화 ‘식물카페, 온정’
온정(溫情)은 대구에서 실제 운영 중인 카페다. 원래는 식물이 없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영화 제작진은 통창이 있고, 이를 통해 거리 풍경이 보이는 이곳을 작품 속 핵심 장소로 점찍었다. 식물들은 이후에 하나씩 가져다 놓은 것이다. 그렇게 온정은 식물 없는 카페에서, 식물카페로 탈바꿈했다. 온정이란 “따뜻한 사랑이나 인정”을 뜻하는 단어다. 식물이 있는 편이 온정이 느껴진다는 점에서 이 같은 변신은 마침맞다. 촬영이 끝난 뒤에도 온정이 식물카페 콘셉트를 유지하면 어떨까 싶다. 영화처럼 카페 주인 현재(강길우 분)가 원예 수업을 하지 않는다 해도, 관리자가 식물들을 키우면 계속 온정을 더해 갈 수 있으니까.

영화에서도 언급되는 ‘식물의 힘’이 그러하다. 식물은 존재만으로 우리에게 기운을 북돋아 준다. 황량하던 마음이 푸릇푸릇한 잎들 덕분에 생동감을 얻는구나. 이런 생각을 나만 하는 것은 아닐 듯하다. ‘식물카페, 온정’을 찾는 손님들은 저마다 가슴에 폐허를 숨기고 있다. 취업과 진로 고민 등 상황과 사연은 제각각이다. 그런데 여기 방문한 이들 사이에 공통점이 하나 생긴다. 현재가 권하는 잎차를 마시고, 여러 식물들을 보며 별것 아닌 대화를 하는 동안, 황량하던 마음이 부드러워지고 따스해진다는 느낌을 공유한다는 점이다.

현재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조언을 해 주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에 온 손님들은 각자 나아갈 길을 발견한다. 정답을 구하기 위해서가 아닌, 황량한 마음을 잠시나마 푸릇푸릇하게 하려고 식물카페에 발걸음했기 때문이다. 거기에서 주고받은 것들이 눈에 보이지는 않아도, 그들은 분명 뭔가를 주고받았다. 이것이 최창환 감독이 강조한 ‘소통’의 한 형태다. 식물을 매개로 하여 막히지 않고 통함으로써, 사람들은 온정으로 다시 살아갈 기운을 낸다. 그러니까 이 영화가 고바야시 가오루 주연의 ‘심야식당’과 연결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영업 시간대가 밤에서 낮으로, 손님에게 제공하는 품목이 음식에서 잎차로 달라진 것뿐이다. 과묵한 가게 주인의 내레이션도, 심지어 얼굴에 난 흉터까지 비슷하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다른 게 있다면 식물카페 주인 현재가 더 젊고, 종군 사진기자였던 그의 과거가 드러난다는 사실이다. ‘심야식당’과 비교될 때 ‘식물카페, 온정’이 갖는 단점과 장점도 뚜렷해진다. 단점은 기획과 구성의 참신함이 떨어진다는 것, 장점은 영화의 온기를 관객에게 위화감 없이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느 쪽에 비중을 두고 보느냐에 따라 이 영화에 대한 평가가 엇갈릴 것 같다. 첨언하면 ‘식물카페, 온정’ 경영이 걱정이다. 현재는 하루 동안 총 네 명의 손님만 받았다. 그중 한 명은 오랜 지인이라 돈도 안 받은 모양인데. 취미로 일하는 게 아니라면, 손님이 많이 오는 ‘심야식당’의 노하우를 배워야 하지 않을까. 현실감 없는 낭만성은 지속 불가능하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