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시콜콜] 비인기학과

[시시콜콜] 비인기학과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21-10-22 13:25
업데이트 2021-10-22 1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20년 12월 숙명여대에서 수시모집 논술고사를 치르고 나오는 학생들. 김명국선임기자 daunso@seoul.co.kr
2020년 12월 숙명여대에서 수시모집 논술고사를 치르고 나오는 학생들. 김명국선임기자 daunso@seoul.co.kr
국내 대학들이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졸업생 취직난까지 겹쳐 ‘취업학원’으로 변한지 오래다. ‘취업률 1위’, ‘취업에 강한 대학’이라는 등의 취업률을 앞세운 대학광고가 흔하다. 신입생 모집방식도 취업률 중심으로 바꾸었다. 중앙대는 2016학년도 신입생부터 학과모집을 폐지했고 2021학년도부터는 계열별로 모집한다. 지원자가 몰리는 인기학과엔 120%의 학생정원이 배정된다. “농대, 원예학과 등의 이름으로 신입생을 모집할 때는 학생 선호도가 높지 않았다. 그런데 생명공학, 바이오 등의 타이틀을 내걸자 취업에 유리해서인지 학생들이 밀려오더라” 서울대 농생명과학대학의 한 교수가 한 말이다.

서울대가 2023학년도부터 대학원의 비인기학과 정원을 줄이고 이공계 등 인기학과에는 그만큼 늘리기로 했다. 직전 3년간 평균 지원율이 정원 대비 85% 미만인 학과의 경우, 모집 정원의 10%를 회수한다. 여기서 회수한 정원은 지원자가 많은 학과나 전문대학원, 신설 학과 등에 배정한다. 서울대 석·박사 과정 중 2021학년도까지 3개년 평균 지원율이 정원에 미달하는 학과는 전체의 29.6%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원이 감축된 학과는 추후 지원율이 정원의 100% 수준으로 회복되면 감축된 정원만큼 우선 재배정한다.

그러나 현재의 대졸자 취업률 추이를 감안하면 이는 실현불가능한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2019년 12월 기준 국내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은 67.1%로 전년도에 비해 0.6%포인트 낮아졌다. 2017년(66.2%)을 제외하고는 최근 5년새 가장 저조하다. 학제별 취업률을 보면 일반대학이나 교육대학은 전년도에 비해 각각 0.9%포인트, 5.0%포인트 떨어졌으나 일반대학원과 산업대학은 각각 1.0%포인트, 1.4%포인트씩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별 취업률도 전체 취업률(67.1%)에 비해 공학계열(69.9%), 의학계열(83.7%)은 높게 나타난 반면, 인문계열(56.2%), 사회계열(63.4%), 자연계열(63.8%)은 낮았다.

서울대의 대학원 정원조정은 문·이과 간 융합시대에 전공간 벽을 허무는 조치로 의미있는 일일 수 있다. 과거 학제에 얽매여 급변하는 산업트렌드를 고등교육과정에 반영하지 못하면 국가적 손해가 아닐 수 없다.

아쉽다면 국내 최고대학에서 인문학 진흥방안에 대한 연구보다 손쉬운 모집정원 방식변경으로 대학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세태를 목도해야 하는 현실이다. 얼마 전 한 대학총장은 “공대 교수들은 50대가 되면 다 은퇴해야 한다”는 다소 과격한 말을 했다. 교수들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산업계의 최신동향을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하는데 이러한 노력을 게을리한다는 안타까움이었다.

박현갑 논설위원 eagleduo@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