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우크라, 러 점령 루한스크주 진격… 푸틴 “자포리자 원전 국유화”

우크라, 러 점령 루한스크주 진격… 푸틴 “자포리자 원전 국유화”

이태권, 윤연정 기자
입력 2022-10-06 22:04
업데이트 2022-10-07 0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크라, 일부 마을 탈환하며 동진
남부 헤르손 전선에서도 승기 잡아
푸틴 “원전 운영권 접수했다” 발표
우크라 “우리 시스템 속 운영” 반박

이미지 확대
러시아군이 우크라 포로에게서 뽑은 금니
러시아군이 우크라 포로에게서 뽑은 금니 우크라이나군이 북동부 지역에서 러시아군을 밀어내면서 러시아군이 점령했던 곳에서의 만행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 4일(현지시간) 하르키우주 피스키라디키우스키 마을에 있는 고문실에서 러시아군이 주민과 군인, 전쟁 포로를 고문하며 뽑은 금니를 수북이 담은 플라스틱통이 발견된 모습. 하르키우 A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자국 영토로 병합 선언을 한 돈바스 루한스크주에 처음으로 진격했다. 점령군이던 러시아를 밀어내며 루한스크 일부 지역을 탈환해 그야말로 파죽지세 동진(東進) 중이다.

5일(현지시간) CNN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측 세르히 하이다이 루한스크주 주지사는 “루한스크의 점령 해제가 시작됐다”며 “해방된 마을 6곳에 우크라이나 국기가 게양됐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군의 탈환 지역은 전략 요충지인 루한스크주 리시찬스크와 도네츠크주 리만에서 각각 50㎞와 30㎞ 거리의 흐레키우카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우크라이나는 남부 헤르손 전선에서도 승기를 쥐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헤르손에서 노보보스크레센스케, 노보흐리호리우카, 페트로파블리우카 3곳을 추가로 해방했다”고 공개했다.

수세에 몰린 러시아군은 이날 수도 키이우에 이란산 자살 드론 공격을 감행했다. 올렉시 쿨레바 키이우 주지사는 텔레그램을 통해 “자살 드론 6대가 키이우 남쪽 80㎞ 빌라체르크바를 공격해 1명이 부상당했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6일(현지시간) 새벽 자포리자의 주거 지역에도 미사일 7발을 발사했다. 올렉산드르 스타루 자포리자 주지사는 “여성 1명이 숨지고 3살 아이 등 7명이 다쳤다”고 말했다.

서방에서도 우크라이나가 전세를 역전시킨 기세로 2014년 빼앗긴 크림반도를 되찾을 수 있다는 예측마저 나온다. 텔레그래프는 미군 고위급 인사의 말을 인용해 “우크라이나가 크림반도를 탈환하는 것은 이제 더이상 무시할 수 없는 명백한 가능성이 됐다”고 했다.

푸틴 대통령은 병합 지역 안정화를 약속하며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전을 러시아 자산으로 국유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세르게이 베르시닌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자포리자 원전은 이제 러시아 연방 영토이므로 당국의 감독하에 운영돼야 한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 그러자 우크라이나 측 페트로 코틴 에네르고아톰 사장은 “(자포리자 원전은)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스템 속에서 우크라이나 법에 따라 운영될 것”이라고 일축했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이번 주 모스크바와 키이우를 잇따라 방문해 자포리자 원전의 안전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미국은 러시아의 핵위협 고조에 본격 대응하고 나섰다. 미 보건복지부는 2억 9000만 달러(약 4100억원)를 들여 미 제약사 암젠의 급성방사선증후군(ARS) 치료제 엔플레이트를 구매했다고 밝혔다.

한편 미 정보당국은 푸틴 대통령의 사상적 지주인 알렉산드르 두긴의 딸 다리야 두기나가 지난 8월 차량 폭발로 사망한 사건에 대해 우크라이나 정부 조직이 개입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CNN이 전했다. 소식통은 미 정보당국 역시 해당 차량 폭발 계획을 사전에 몰랐고, 젤렌스키 대통령이 계획을 미리 알고 있었는지도 불명확하다고 말했다.
이태권 기자
윤연정 기자
2022-10-07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