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증가율 美의 2배… 실업률도 하향 안정세
통독 20주년을 맞는 올해 독일 경제는 활짝 핀 꽃으로 불릴 만하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남유럽발(發) 재정위기로 허약해진 유럽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어서다. 통독 10주년 때만 해도 ‘유럽의 병자’로 조롱받았던 처지를 감안하면 환골탈태 수준이다.

실업률도 하향 안정세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2007년 2분기~2009년 4분기 상당수 국가들의 실업률이 급격히 상승했지만 독일만은 예외였다. 미국은 4.5%에서 10.0%로, 스페인은 8.0%에서 19.0%로, 영국은 5.1%에서 7.8%로 치솟았다. 반면 독일은 8.5%에서 7.5%로 오히려 낮아졌다. 대외경제연구원 강유덕 박사는 “독일은 2003년부터 노동시장 유연화 방안인 ‘하르츠(HARTZ) 개혁’을 통해 실업률을 잡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독일 경제가 통일의 후유증을 극복하고 승승장구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유럽 통합과 구동독의 존재, 낮은 물가상승 등을 성공 키워드로 꼽는다.
이서원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004년 동독 지역의 임금 수준은 서독 대비 66%에 불과했다.”면서 “동독의 인프라와 높은 노동생산성을 생각할 때 각종 규제와 급격한 임금상승에 시달리는 동유럽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독일 경제가 장밋빛 미래만 있는 것은 아니다. 수출 확대와 민간 소비가 동시에 살아나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되지 않아 고민이다. 김득갑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장은 “지난 2분기를 정점으로 수출이 둔화되고 있어 독일 경제도 내년엔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0-10-0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