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6 50년] 한국현대사학회 ‘좌파학자’ 도진순·김명섭 교수 인터뷰

[5·16 50년] 한국현대사학회 ‘좌파학자’ 도진순·김명섭 교수 인터뷰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향성 없는 연구해야” “교과서 제작 참여 글쎄”

이미지 확대
출범을 앞둔 한국현대사학회가 자랑거리로 내세우는 특징 중 하나가 ‘외연 확장’이다. 우익뿐 아니라 중도, 좌파 학자까지 참여했다는 것이다. 그 ‘근거’로 내세우는 학자가 도진순(왼쪽·52) 창원대 역사학과 교수와 김명섭(오른쪽·49)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다.

도 교수는 백범 김구의 입장에서 현대사를 조망하는 한국 현대사 1호 박사이고, 김 교수는 ‘해방전후사의 인식’(‘해전사’) 필진 중 한 사람이다. 이승만 정권 재평가를 시도하는 우익 진영은 대척점에 놓인 백범 중심의 역사관을 불편하게 여긴다. 이들 눈에 비친 백범은 ‘해방 직후 국제 정세를 제대로 보지 못한 이상주의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1980년대 대학가에서 널리 읽힌 ‘해전사’는 우익 진영이 오늘날 역사 교과서의 좌편향을 초래한 주범이라고 집중 성토한 대상이다. 반박 성격의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을 내놓기까지 했다. 그 중심에 있는 두 사람이 현대사학회에 이름을 올렸으니 시선이 쏠릴 만하다.

도 교수와 김 교수는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다양한 시각에서 입체적으로 한국사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고 국사학계 중심의 동종 교배적인 연구 틀에서 벗어날 필요성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학회 성격이나 활동 내용에 대해서는 명백히 선을 그었다. 중국 베이징에 교환교수로 나가 있는 도 교수는 “(좌나 우) 경향성 없는 연구를 하겠다며 내 이름을 (발기인 명단에) 올리겠다고 해 수락한 것인데 일부 보수 언론의 기사 등을 보면 특정 방향성을 띤 것 같아 다소 경계되고 언짢다.”고 털어놓았다.

도 교수는 중국 체류 뒤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강의와 연구를 병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귀국은 1년 반 뒤에나 가능하다는 것. 따라서 “(현대사)학회 활동을 전면에 나서서 할 처지가 못 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도 “한국의 현대사를 연구하는 학회가 아니라 현대사를 연구하는 한국의 학회라고 봤기 때문에 참여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역사 교과서 제작과 관련해서는 “아직 거기까지는 (참여를) 생각하지 않고 있다.”면서 “일단 (20일) 창립대회 때 주제 발표에 충실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의 발표 주제는 ‘한국 현대사 인식의 새로운 진보를 위한 성찰’이다. 제2의 교과서포럼으로 변질될지 모른다는 우려와 관련해 김 교수는 “학자들이 모인 단체라 그렇게 일방적으로 (방향성을) 몰아갈 순 없을 것”이라면서 “만약 그런 시도가 일어난다면 내부 토론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5-14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