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범죄 피해 지원… ‘코인 셜록’이 찾아갑니다

암호화폐 범죄 피해 지원… ‘코인 셜록’이 찾아갑니다

입력 2020-06-30 22:06
수정 2020-07-01 02: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본지 참여 ‘온라인 공공 플랫폼’ 이달 발족

“여러분과 함께 암호화폐 범죄 피해를 추적합니다.”

서울신문은 블록체인 보안업체인 웁살라시큐리티와 함께 암호화폐 범죄 피해자들을 지원하는 공공 플랫폼 ‘코인 셜록(가칭)’을 7월 발족합니다. 코인 셜록은 디지털 자산 추적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금융피라미드 범죄, 다크웹 성착취물의 범죄 수익 등을 탐지해 피해자들에게 추적 보고서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 보고서는 사법기관에 범죄 피해 신고와 범죄 수익의 추징·몰수 등을 위한 법적 자료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코인 셜록은 전문가들과 함께 범죄 피해의 심각성과 중요도에 따라 사건을 선별해 대상을 정합니다. 지원을 받는 피해자의 동의를 받아 사건 내용과 범죄 자금 추적, 수사 과정 등을 후속 보도할 것입니다. 패트릭 김 웁살라시큐리티 대표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미비한 상황에서 암호화폐가 악용돼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웁살라시큐리티의 추적 기술을 안전한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신문 탐사기획부는 지난 8일부터 ‘2020 암호화폐 범죄를 쫓다’를 주제로 암호화폐를 악용한 각종 범죄와 법·제도적 허점을 연속 보도하고 있습니다. 범죄 피해자 상당수가 적극적인 수사 요청을 주저하거나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신문은 ‘중고나라에서 사기당한 내 돈, 코인세탁 뒤 범죄자금 쓰였다’<6월 29일자 1·8·9면>를 통해 범죄 피해액이 암호화폐로 세탁돼 또 다른 범죄 자금이나 해외 거래소로 흘러간 사실을 보도했습니다. 일부 사건 피해자들은 취재 과정에서 경찰 수사를 의뢰하고, 해외 계좌 동결 절차에 나섰습니다.

서울신문은 암호화폐 범죄를 고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공공 플랫폼을 통해 독자들과 연대한 해법 모색이라는 ‘솔루션 저널리즘’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코인 셜록은 피해자 지원 활동뿐 아니라 암호화폐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공론화를 꾀하고 정부와 사법기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을 환기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탐사기획부 tamsa@seoul.co.kr
2020-07-0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