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딥체인지’ 넘어 ‘파이낸셜 스토리’ … 최태원, 공감의 혁신 이끌다

SK, ‘딥체인지’ 넘어 ‘파이낸셜 스토리’ … 최태원, 공감의 혁신 이끌다

입력 2021-07-15 17:20
수정 2021-07-16 02: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최태원 SK 회장이 지난달 열린 ‘2021 확대경영회의’에서 임직원들에게 매력적인 목표와 구체적인 실행 계획 등을 담은 ‘좋은 파이낸셜 스토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SK 제공
최태원 SK 회장이 지난달 열린 ‘2021 확대경영회의’에서 임직원들에게 매력적인 목표와 구체적인 실행 계획 등을 담은 ‘좋은 파이낸셜 스토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SK 제공
SK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으로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최태원 SK 회장의 강력한 의지가 뒷받침됐다는 후문이다.

최 회장은 근본적 변화를 의미하는 ‘딥체인지’의 모든 방법론을 유기적으로 담아낸 ‘좋은 파이낸셜 스토리’를 완성해 모든 이해관계자들로부터 공감과 신뢰를 얻어야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경기 이천 SKMS연구소에서 열린 ‘2021 확대경영회의’에서다.

최 회장은 “우리 그룹은 그동안 수소, 배터리, RE100 등 환경 분야를 선도해 왔고 비즈니스 모델 혁신, 사회적 가치, 공유인프라, ESG 등 여러 딥체인지 방법론으로 많은 성과를 이뤘다”면서 “이제는 이 같은 방법론들을 한 그릇에 담아 이해관계자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소통하고 실천해 나간다면 결국 신뢰를 얻어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싱크로나이즈’(동기화)를 키워드로 ‘좋은 파이낸셜 스토리’의 개념과 필요성을 제시했다. 각 회사의 미래 비전에서부터 이사회 운영, 구성원 평가 등 모든 요소가 파이낸셜 스토리 내에서 톱니바퀴가 맞물리는 것처럼 조화를 이루고, 이해관계자별로 맞춤 스토리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최 회장은 회사들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따른 산업별 메가 트렌드 변화 및 글로벌 환경 변화 등 감내하기 어려운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는 만큼 최고경영자(CEO)들은 구성원, 투자자, 이사회, 사회 구성원 등 내외부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파이낸셜 스토리 완성의 주체가 될 것을 주문했다.

최 회장은 이어 개별 회사 차원의 파이낸셜 스토리뿐 아니라 그룹 차원의 파이낸셜 스토리를 완성할 것도 강조했다. 그는 “반도체, 수소 등을 그룹 차원의 파이낸셜 스토리로 만들었을 때 시장에서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면서 그룹 전체 차원에서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0)를 달성하자는 ‘넷제로’ 조기 추진을 주문했다. 이어 “향후 탄소 가격이 생각보다 더 빠르게 올라갈 것을 감안하면 넷제로는 하느냐 안 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경쟁력의 문제”라면서 “남들보다 더 빨리 움직이면 우리의 전략적 선택의 폭이 커져 결국에는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SK CEO들은 글로벌 화두인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해 그룹의 역량을 결집,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 시점인 2050년보다 앞서 넷제로 추진을 공동 결의했다.

이번 넷제로 공동 결의는 SK그룹사들이 2050년 이전(‘2050-α’)까지 CO₂ 등 7대 온실가스를 직접 감축할 수 있도록 적극 투자하고,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SK머티리얼즈가 넷제로 달성 목표를 2030년으로 잡은 것을 필두로, 회사별로 조기 달성 목표를 수립했으며 최소 10년 단위로 중간 목표를 설정해 그 결과를 매년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했다.
2021-07-16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