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소비시장 공략을 위한 전문가 제언] 중국어로 의사소통은 가능해야

[中 소비시장 공략을 위한 전문가 제언] 중국어로 의사소통은 가능해야

입력 2010-11-02 00:00
업데이트 2010-11-02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종태 창사 한인회 고문

아직 한국기업이나 한국인들이 눈여겨 보지 못하는 곳이 후난(湖南)성 창사(長沙) 지역이다. 현재 1인당 GDP 5000달러 수준이지만 실질 구매소득으로 보면 2만 달러에 육박한다.

이미지 확대
이곳은 왕성한 소비성향을 바탕으로 ‘먹고 마시고 꾸미는’ 서비스업이 강세다. 미용실이나 음식점, 안마 등 자영업이 성공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중국인을 고용하지 않고 자기가 직접 경영해야 승산이 있다. 최소한 중국어로 의사 소통이 가능한 정도가 돼야 한다.

최근 이곳에 뿌리를 내리는 한국 자영업자들은 유학생으로 왔다가 이곳에서 사업을 시작한 경우인데, 대부분 중국어가 되고 현지 사정이 밝기 때문에 가능하다.

산업의 경우, 환경을 훼손하는 공해산업은 이곳에 진출하기 어렵다. 내수시장을 겨냥한 유통이나 홈쇼핑 등의 발전속도가 무척 빠르다. 롯데나 이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들이 승부를 걸 만한 지역이다.

후난성 지도부는 한국을 경제발전 모델로 삼고 있어 한국의 투자에 대해 매우 우호적이다.

최근 연해에 본거지를 둔 중국 대기업들이 내륙 진출을 위해 관문인 후난성으로 몰려오는 분위기다. 연해보다 상대적으로 싼 인건비와 편리한 교통 여건이 주 원인이다. 한국기업들과의 다양한 제휴, 합작 가능성이 있는 지역이다.

창사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2010-11-02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