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대기술 박차… 녹색성장 선도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한국전력이 ‘글로벌 톱5’의 에너지 엔지니어링(E&E) 회사로 도약하기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한국전력 제공

한전이 건설해 운영하는 유동층 석탄화력 방식의 필리핀 세부 발전소.
한국전력 제공
한국전력 제공
한전은 100년을 넘어 영속하는 ‘계속기업’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매년 10%씩 성장해야 하는데 앞으로 국내 전력수요 성장이 4%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보고 대비책을 마련 중이다.
한전은 성과 중심의 국내사업 운영으로 적정 수익성을 확보해야 하고 이를 위해 연료비 연동제의 성공적인 정착과 함께 경제적 관점의 설비투자도 병행해야 한다. 같은 선상에서 해상풍력과 같은 신사업을 적극 발굴해야 한다는 내부 방침도 정했다.
해외사업 전략으로는 원전건설·원전서비스·수화력·자원개발·스마트그리드 등 5대 전력 부문을 2020년까지 전체 매출의 3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도 내놨다. 글로벌 녹색성장 리더로 발돋움하기 위해 추진 중인 8대 녹색기술 개발을 가속화해 2020년까지 25개 녹색기술을 확보하고 조인트벤처 등을 활용한 시장 선점으로 녹색성장의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한전의 해외 사업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전 수주를 계기로 추가 해외 수주 가능성에 집중되고 있다. UAE 원전사업의 경우 한국형 원전 4기(5600㎿)의 수주금액은 186억 달러(20조원)에 달한다.
올해 들어서는 덴마크 에너지 기업인 ‘동에너지’와 해상풍력 및 스마트그리드 분야 기술협력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한전은 동에너지와 기술협력을 강화해 신·재생에너지 분야 기술력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을 세워 놓고 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7-15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