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얼굴) 한나라당 전 대표가 4일 다시 대구를 찾았다. 지난달 31일 대구에서 정부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를 비판한 지 나흘 만이다. 그러나 이번엔 신공항 문제를 직접 거론하지 않았다. 박 전 대표는 오후 자신의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에 들어서는 ‘지능형 교통체계(ITS)기반 자동차부품 시험장’ 기공식에서 기자들이 이명박 대통령의 기자회견에 대한 입장을 묻자 “오늘은 안 해요.”라며 함구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친박계 한 의원은 “박 전 대표로서는 이미 할 말을 다했다.”면서 “이 대통령이 직접 공약을 지킬 수 없는 입장을 설명한 이상 박 전 대표가 나서서 되돌릴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이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는 데 따른 부담감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한 의원은 “이 문제를 더 끌어서 박 전 대표가 이로울 게 없다.”면서 “박 전 대표로선 지난달 31일 신공항 필요성을 거듭 강조함으로써 소신은 지키고 지역민심을 챙긴다는 목적을 이미 달성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대신 대구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대구 연구개발(R&D)특구 출범식’ 축사에서 “대구와 대전, 광주를 잇는 삼각 테크노벨트를 구축해 각각을 교육과학기술특구로 지정하면 지역도 살고 대한민국도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07년 대선 경선 당시 공약으로 내세웠던 ‘삼각벨트’론을 다시 꺼내든 것이다.
대구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2011-04-0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