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블로그] 언제까지 ‘핫바지론’에 기대려나

[여의도 블로그] 언제까지 ‘핫바지론’에 기대려나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핫바지론’은 충청도 정치의 대명사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1995년 3월 거대 집권당이었던 민자당을 탈당한 뒤 “충청도가 핫바지냐.”며 지역정당인 자민련을 만들었다. 이 구호가 제대로 먹혀 자민련은 1996년 15대 총선에서 50석을 차지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유신잔당’이란 오명 속에서도 자민련은 ‘DJP(김대중+김종필)연합’으로 국민의 정부 지분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후 16대 총선에서 17석으로 주저 앉았고, 17대 총선에선 고작 4석에 그쳐 김 전 총리가 정계를 떠났다.

그러나 ‘핫바지론’의 생명력은 JP보다 질겼다. 대선에서 세 번이나 실패한 이회창 전 대표가 2008년 총선을 앞두고 심대평 당시 국민중심당 대표와 합심해 자유선진당을 창당했다. 급조된 선진당은 전국에 몰아친 ‘한나라당 대세’ 속에서도 충청권에서 18석을 얻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충청 정치세력의 ‘총선병(病)’이 여지없이 도졌다. 지역주의에 기대어 당선되려는 정치인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것이다. 세종시에 과학비즈니스벨트 논란까지 겹쳐 지역주의를 자극할 환경도 성숙됐다.

2009년 8월 이 전 대표와 갈라선 뒤 국민중심연합을 만든 심 대표가 무소속 이인제 의원, 정우택 전 충북지사, 이완구 전 충남지사 등과 새 정당을 만들려고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 전 대표는 총선과 대선 국면에서 한나라당과 모종의 ‘거래’를 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일부 의원은 다시 민주당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소문도 있다.

그러나 충청 정치인들의 ‘습관성 승부수’가 이번에도 먹힐지는 의문이다. 유권자들이 이제 ‘핫바지론’에 속아줄 만큼 어리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40대인 안희정 후보가 충남지사에 당선된 것은 유권자들이 ‘핫바지론’보다는 ‘미래’에 더 큰 기대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제2의 JP가 되기보다는 편협한 지역주의의 틀을 깨는 게 오히려 충청에서 살아남는 방법일 수도 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1-05-14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