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오 한나라당 중진의 쓴소리
“정부가 돈을 주고 뺨을 맞는 꼴이다.” 국회의장을 지낸 한나라당의 중진 김형오 의원은 15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및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과 관련,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어떤 결론이 나더라도 얻은 쪽은 고마워하지 않고, 잃은 쪽도 수긍하기 힘든 상황이 됐다.”면서 “입지 선정 절차와 방법이 잘못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날 ‘왜들 이러십니까’라는 제목의 성명도 발표, 각종 정책에 대한 정부의 소통 부족과 지역주의에 뿌리를 둔 정치 풍토에 대해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김형오 의원
●억울할수록 목소리 낮춰야
김 의원은 “문제의 본질은 지역 간 대결, 정부의 어정쩡한 태도”라면서 “정부는 용역 결과 등을 핑계로 책임을 전가하고, 정치권에서는 동료 의원들끼리 말조차 통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지방자치단체 책임자들이 앞장서 과격한 언행을 서슴지 않고, 지역 정치인들이 선동적 구호를 마구 쏟아내고 있다.”면서 “문제를 풀어야 할 사람들, 국민을 설득시켜야 할 사람들이 머리 깎고 단식하는 사회가 우리 사회 말고 또 있는가.”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정부를 흔드는 것은 권력누수, 레임덕을 재촉하는 현상”이라면서 “억울할수록 목소리를 낮추고, 평상심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 안심시키 려는 진 정성 필요
특히 김 의원은 대통령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대표적 사례로 친이명박(친이)계를 꼽았다. 김 의원은 “대통령 측근이 뒤늦게 개헌을 주도하다가 여의치 않자 ‘대통령 뜻’이라고 했고, 4·27 재·보궐 선거 기간에 소집한 계보 의원 모임에 대해 구설수가 일자 이 또한 ‘대통령 뜻’이라고 했다.”면서 “잘못된 책임을 모두 대통령에게 덮어씌운다면 이것이야말로 레임덕”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일이 생겼을 때 책임지는 사람이 있어야 레임덕이 속도를 늦춘다.”면서 “국민을 안심시키려는 진정성을 갖고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저 축銀 총리가 직접 나서라
최근에 불거지고 있는 주요 갈등 현안에 대해서도 해법을 제시했다.
경찰청이 추진하는 ‘3색 화살표 신호등’ 문제와 관련, “듣도 보도 못한 3색 신호등 때문에 운전자들이 당황하고 있다. 신호등을 만들거나 바꿀 수 있는 회사는 한두 개에 불과할 것이다. 이 회사들과 신호등 교체는 무관하지 않을 것 같다는 의심이 든다.”면서 원점 재검토 및 금권 개입 여부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
부산저축은행 사태에 대해서는 “총리가 직접 나서 사건 관련자를 엄벌하고 선의의 피해자는 최대한 보상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혀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공항 원점 재검토 주장은 소신
앞서 동남권 신공항 논란 때 부산이 지역구임에도 ‘원점 재검토’ 주장을 굽히지 않았던 김 의원은 “당시 발언으로 정치적으로 완전히 매장당할 뻔했다가 일본 쓰나미 덕에 용케 살아났다.”면서 “욕을 먹더라도 양심과 소신에 따라 얘기하는 것일 뿐”이라고 말을 맺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1-05-1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