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기후변화총회 유치 총력전

2012 기후변화총회 유치 총력전

입력 2011-05-31 00:00
업데이트 2011-05-31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후변화 관련 최대·최고위급 회의인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를 유치하기 위해 정부가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중동 카타르와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중이다.

30일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오는 6월 7~20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회기 간 부속기구 회의에서 내년 12월 개최될 제18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개최국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당초 지난해 말 멕시코 칸쿤에서 열렸던 제16차 총회에서 결정될 예정이었으나, 한국과 카타르가 서로 개최하겠다고 밝혀 불발됐다.

이미지 확대


●“컨센서스냐, 첫 표결이냐”

190여개 유엔 회원국의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하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는 대륙별 5개 그룹이 5년마다 돌아가면서 개최국을 컨센서스(만장일치)로 정하는데, 제18차 총회는 아주그룹에서 정하게 됐다. 중동까지 아주그룹에 속하는 바람에 지난 2009년 제16차 코펜하겐 총회에서 한국과 카타르가 총회 유치를 선언, 2년째 경쟁해 오고 있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총회 결정은 그동안 컨센서스로 해왔기 때문에 한국과 카타르가 우선 조율해야 하는데 서로 물러서지 않아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최악의 경우 아주그룹 54개국이 투표를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엔은 지난해 칸쿤 회의에서 제18차 총회 개최국 선정이 불발되자 올해 6월까지 개최국을 정하라고 권고했다.

이에 따라 다음달 회기 간 회의에서 아주그룹 내 컨센서스 또는 투표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소식통은 “카타르와 계속 협의 중이며, 한국이 기후변화·녹색성장에 관심이 크고 정책적으로 앞서 있다는 장점을 살려 국제사회에 호소하고 있다.”며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는 카타르에 내줬지만 기후변화총회는 의제가 중요한 만큼 유치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소식통은 “6월 회의에서도 결정되지 않으면 오는 12월 남아공 더반에서 열리는 제17차 총회까지 갈 수도 있다.”며 “준비기간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빨리 결정되면 좋다.”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7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결정에 앞서 기후변화총회 개최 결정이 진행되는 것에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지만, 월드컵이나 올림픽은 민간이 앞장 서는 반면, 기후변화총회는 정부가 주도한다는 점에서 별개로 보고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오늘 외교장관회의… 지지 요청

정부는 그동안 아주그룹 국가들을 상대로 특사를 보내는 등 유치를 위해 노력해 왔으며, 상당한 지지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31일 서울에서 열리는 제1회 한국·태평양도서 14개국 외교장관회의에서도 기후변화·환경·개발협력을 주제로 협의가 이뤄질 예정이며, 이 과정에서 한국의 기후변화총회 유치를 지지해 달라고 호소할 예정이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1-05-31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