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무상급식투표 실패시 시장직 사퇴”

오세훈 “무상급식투표 실패시 시장직 사퇴”

입력 2011-08-20 00:00
수정 2011-08-21 10: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3.3% 미달로 개표 못하거나 득표 낮아도 책임”…정치권 큰 파장

오세훈 서울시장은 21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실패하면 시장직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눈물 닦는 오세훈 시장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에 따른 시장직 진퇴 여부 연계 방침을 밝히는 긴급 기자회견을 하던 중 눈물을 닦고 있다. 연합뉴스
눈물 닦는 오세훈 시장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에 따른 시장직 진퇴 여부 연계 방침을 밝히는 긴급 기자회견을 하던 중 눈물을 닦고 있다.
연합뉴스


 오 시장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는 24일 치러지는 이번 주민투표 결과에 제 시장직을 걸어 그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주민투표에서 투표율이 33.3%에 못미쳐 투표가 무산되거나 개표에서 과반수 찬성을 얻지 못할 경우,모두 시장직을 걸고 책임지겠다”고 천명했다.

 오 시장은 “오늘의 제 결정이 이 나라에 ‘지속가능한 복지’와 ‘참된 민주주의’가 뿌리를 내리고 열매를 맺는데 한 알의 씨았이 될 수 있다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해도 더 이상 후회는 없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오세훈 ‘무릎 꿇고 호소’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에 따른 시장직 진퇴 여부 연계 방침을 밝히는 긴급 기자회견을 하던 중 무릎을 꿇고 투표 참여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무릎 꿇고 호소’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에 따른 시장직 진퇴 여부 연계 방침을 밝히는 긴급 기자회견을 하던 중 무릎을 꿇고 투표 참여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이어 “복지원칙을 바로 세울 수 있는 있는 것은 내년 총선과 대선 앞에 흔들리는 여야 정치인이 아니라 오직 유권자 여러분”이라며 “반드시 33.3% 투표율을 넘겨 시민의 엄중한 뜻이 어디에 있는지를 확실히 보여주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이번 주민투표에서 투표율 미달로 개표도 못한채 주민투표가 무산되면 시정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에 부닥칠 것으로 보고 주민투표 결과와 시장직의 연계를 고민해왔다.

 오 시장은 자신이 제안한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복지포퓰리즘을 막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는 확신에 따라 시장직 연계를 선언함으로써 투표 승리를 이끌어내려는 막판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오 시장이 이번 주민투표에 시장직을 걸면서 결과에 따른 파장도 커지게 됐다.

 이번 주민투표에서 오 시장 측이 승리할 경우 서울시정은 물론 여권의 정국 주도권에 더욱 탄력이 붙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오 시장의 이런 승부수에도 불구하고 투표에서 패배할 경우 시장직에서 물러나야 하기 때문에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이어지고 내년 총선과 대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한나라당은 오 시장이 이번 주민투표에 시장직을 걸었다가 실패해서 사퇴할 경우 이어지는 보궐선거에서 자칫 야당에 서울시장직을 넘겨주는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우려해 왔다.

 오 시장 측은 야권이 불참운동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투표율 33.3%를 넘기기가 쉽지 않지만 주민투표에 시장직을 걸면 최소 5%가량 투표율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흘 남겨둔 이번 주민투표에서 투표 참가와 거부 양 진영이 투표율 33.3% ‘사선(死線)’을 놓고 더욱 치열한 막판 총력전을 벌일 전망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