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한센인 생활지원금 예산을 확보하고도 계획 미비로 한 푼도 사용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이낙연(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복지부는 지난해 한센인피해사건진상규명 및 생활지원사업 예산으로 편성한 7억600만원 가운데 한센인 생활지원금 2억8천800만원 전액을 불용 처리했다.
복지부는 예산 항목별로 인건비(1억9천800만원)는 200만원, 운영비(7천200만원)와 여비(2천700만원), 업무추진비(1천만원) 등은 100만원씩을 남긴 채 모조리 사용했으나 정작 한센인들에게 직접 돌아갈 보전금은 대상과 규모 등의 지급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는 바람에 한 푼도 사용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한센인 생활지원금은 확보된 예산 2억8천800만원으로는 피해자 985명(작년 12월말 기준)을 대상으로 1인당 월 2만4천원을 지원할 수밖에 없어서 실효성 있는 지원기준을 마련하기 곤란했다”고 해명했다.
이 의원은 “취약계층 복지를 책임져야 할 복지부라면 한센인 대부분이 어려운 생활을 한다는 점을 고려해 지원기준을 사전 결정하고 비록 소액이라도 생활지원금을 지급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복지부는 또 장애인 근로자에게 출퇴근용 차 구입에 필요한 자금을 장기저리로 빌려주는 장애인 자동차 구입자금 융자사업 예산 3억6천900만원도 금융기관과 협의 실패와 기획재정부의 반대로 불용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이낙연(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복지부는 지난해 한센인피해사건진상규명 및 생활지원사업 예산으로 편성한 7억600만원 가운데 한센인 생활지원금 2억8천800만원 전액을 불용 처리했다.
복지부는 예산 항목별로 인건비(1억9천800만원)는 200만원, 운영비(7천200만원)와 여비(2천700만원), 업무추진비(1천만원) 등은 100만원씩을 남긴 채 모조리 사용했으나 정작 한센인들에게 직접 돌아갈 보전금은 대상과 규모 등의 지급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는 바람에 한 푼도 사용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한센인 생활지원금은 확보된 예산 2억8천800만원으로는 피해자 985명(작년 12월말 기준)을 대상으로 1인당 월 2만4천원을 지원할 수밖에 없어서 실효성 있는 지원기준을 마련하기 곤란했다”고 해명했다.
이 의원은 “취약계층 복지를 책임져야 할 복지부라면 한센인 대부분이 어려운 생활을 한다는 점을 고려해 지원기준을 사전 결정하고 비록 소액이라도 생활지원금을 지급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복지부는 또 장애인 근로자에게 출퇴근용 차 구입에 필요한 자금을 장기저리로 빌려주는 장애인 자동차 구입자금 융자사업 예산 3억6천900만원도 금융기관과 협의 실패와 기획재정부의 반대로 불용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