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가 올해말이나 내년초로 예측되고 있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본격적 정치행보를 앞당길 지 정치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주민투표의 무산으로 과거 선거패배 등 당의 위기상황 때마다 번졌던 ‘박근혜 책임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가 주민투표 지원에 나섰더라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 있었다고 불만을 표시하는 의원들 사이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사퇴 후 치러질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근혜 등판론’을 띄울 가능성이 있다.
일단 보궐선거가 내년 4월 치러진다면 논란이 벌어질 소지는 적어진다.
박 전 대표가 지난 5월 “내년에는 중요한 선거들이 있고 하니 좀 더 적극적으로 활동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는데 정치권은 그가 여권 대권주자로서 자연스럽게 총선지원에 나서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문제는 오 시장의 즉각 사퇴로 10월 보궐선거가 치러지는 경우다.
친박(친박근혜) 진영에서는 당 지도부 및 의원들이 박 전 대표에게 ‘SOS’를 연발할 상황을 가정해 고심하는 기류가 엿보인다.
”정기국회에 집중하겠다”고 뿌리치거나, 과거처럼 “선거는 당 지도부 중심으로 치른다”는 원칙을 내세우며 불개입하는 것이 본격적인 대권행보를 앞두고 적절한가에 대한 고민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박 전 대표가 주민투표에 일관되게 거리두기를 해왔던만큼 투표 결과로 인해 치러지는 보궐선거 지원에도 박 전 대표가 특별히 나서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박 전 대표는 “무상급식은 지자체마다 사정과 형편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해야 한다”며 지방행정의 일환으로 해석했고 주민투표 전날에도 “서울시민이 판단하지 않겠느냐”고 말했었다.
친박의 한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것은 국민투표가 아니라 주민투표인데 지방자치단체장이 하는 것이지 다른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며 박 전 대표가 개입할 사안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또다른 친박 의원은 “오 시장이 시작한 투표인데 왜 엉뚱하게 박 전 대표가 비난의 대상이 되느냐”며 ‘결자해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친박의 이한구 의원은 25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선거 후보자나 정책 결정에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사람에게 선거 과정에서 어려워지면 ‘설거지하라’는 식으로 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책임론을 차단했다.
연합뉴스
주민투표의 무산으로 과거 선거패배 등 당의 위기상황 때마다 번졌던 ‘박근혜 책임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가 주민투표 지원에 나섰더라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 있었다고 불만을 표시하는 의원들 사이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사퇴 후 치러질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근혜 등판론’을 띄울 가능성이 있다.
일단 보궐선거가 내년 4월 치러진다면 논란이 벌어질 소지는 적어진다.
박 전 대표가 지난 5월 “내년에는 중요한 선거들이 있고 하니 좀 더 적극적으로 활동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는데 정치권은 그가 여권 대권주자로서 자연스럽게 총선지원에 나서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문제는 오 시장의 즉각 사퇴로 10월 보궐선거가 치러지는 경우다.
친박(친박근혜) 진영에서는 당 지도부 및 의원들이 박 전 대표에게 ‘SOS’를 연발할 상황을 가정해 고심하는 기류가 엿보인다.
”정기국회에 집중하겠다”고 뿌리치거나, 과거처럼 “선거는 당 지도부 중심으로 치른다”는 원칙을 내세우며 불개입하는 것이 본격적인 대권행보를 앞두고 적절한가에 대한 고민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박 전 대표가 주민투표에 일관되게 거리두기를 해왔던만큼 투표 결과로 인해 치러지는 보궐선거 지원에도 박 전 대표가 특별히 나서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박 전 대표는 “무상급식은 지자체마다 사정과 형편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해야 한다”며 지방행정의 일환으로 해석했고 주민투표 전날에도 “서울시민이 판단하지 않겠느냐”고 말했었다.
친박의 한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것은 국민투표가 아니라 주민투표인데 지방자치단체장이 하는 것이지 다른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며 박 전 대표가 개입할 사안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또다른 친박 의원은 “오 시장이 시작한 투표인데 왜 엉뚱하게 박 전 대표가 비난의 대상이 되느냐”며 ‘결자해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친박의 이한구 의원은 25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선거 후보자나 정책 결정에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사람에게 선거 과정에서 어려워지면 ‘설거지하라’는 식으로 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책임론을 차단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