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당내 경선뒤 단일화 조율 야, 참여경선 vs 여론조사 진통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다자 구도로 형성됐지만 정치권 안팎의 관심은 결국 범여권과 범야권을 대표하는 ‘통합 후보’다. 범여권(한나라당, 이석연 전 법제처장)과 범야권(민주당, 민주노동당, 박원순 전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후보들은 각각 단일화 원칙에 합의한 상태다. 문제는 통합 후보 선출 방식이다. 범야권은 ‘투 트랙 경선’(선 당내 경선·후 단일화)을 치르기로 했지만 범여권은 통합 경선 여부가 불확실하다.한나라당은 ‘범여권’ 통합 경선 자체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 전 처장의 입당과 ‘완주’를 저지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당 지도부는 후보 등록 마감일(23일)까지 “기다려 보자.”고 입을 모은다. 김정권 사무총장은 “반드시 한나라당 후보를 낼 방침이며 절대 외부 인사와의 2차 경선은 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한나라당에 입당하는 인사에 한해서 경선을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전 처장은 “입당하지 않겠다.”는 방침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이 전 처장에게 유리한 경선 규칙까지 제안하며 입당을 설득했지만 ‘내가 구차해진다’면서 거부했다.”고 전했다. 이 경우 범여권 경선은 일단 나경원 최고위원과 김충환 의원 등 한나라당 당내 인사들을 대상으로 다음 달 4일 치러진 뒤 이 전 처장과 단일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범야권의 통합 경선은 민주당·민주노동당·박 전 상임이사의 경쟁이다. 다음 달 3일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등 기존 정당은 조직세가 반영된 참여경선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박 전 상임이사 쪽은 인지도가 높은 만큼 여론조사가 유리하다.
야당과 박 전 상임이사 쪽은 통합 경선 방식을 협상 중이지만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의 반응을 종합하면 “모든 것을 다 꺼내놓고 논의 중이다. 진전이 잘 안 된다.”로 요약된다. 현재로선 ‘선거인단 참여 경선’과 여론조사를 섞은 형태가 유력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지만 아예 제3의 방안을 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선거인단만 해도 비율을 어떻게 할 것인지, 선거인단은 어떻게 구성할지 등 각론에 들어가면 걸림돌이 한둘이 아니다. 선거인단 모집 방법(후보별 모집, 제3의 기관이 모집, 전화나 인터넷 모집)과 모집된 선거인단의 의사 확인 방법(현장 투표, 전화 조사) 등을 놓고 힘겨루기가 불가피하다. 어떤 경우든 선거인단 모집은 정당에 유리하다. 정장선 민주당 사무총장은 “당내 서울시장 경선처럼 현장 경선이 병행되는 게 바람직하지 않겠나.”라는 의견이다.
여론조사의 경우 질문 문항에 따라 이해관계가 엇갈린다. 후보 경쟁력을 묻더라도 적합성(정당 유리)과 대표성(박 전 상임이사 유리)으로 갈릴 가능성이 높다.
박 전 상임이사 측 송호창 대변인은 “시민의 의사를 반영하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배심원제 도입도 거론된다. 일반 시민 가운데 명망가나 전문가가 후보들의 정견을 듣고 선택하는 제도다.
구혜영·허백윤기자 koohy@seoul.co.kr
2011-09-2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