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에 찬성표를 던진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는 강행처리 동참으로 인한 부담감을 당 지도부와 나눠 지게 됐다. 진작부터 ‘이번 회기 안에 한·미 FTA 비준안이 처리되는 게 좋다.’는 입장을 밝혀 온 박 전 대표지만 이번엔 본회의장에서 최루탄이 터지는 최악의 상황 속 강행처리라 부담이 더욱 크다. 앞서 국회 폭력으로 얼룩졌던 2009년 미디어법 직권상정 처리 때와 지난해 예산안 강행처리 때 박 전 대표는 몸싸움 때문에 본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다. 당 지도부는 본회의 전 정책의원총회를 갖기 직전 박 전 대표에게 비준안 표결처리 방침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직후 무거운 표정으로 국회의사당 본청을 나서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직후 무거운 표정으로 국회의사당 본청을 나서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박 전 대표는 본회의장에서 퇴장한 뒤 기자들이 소감을 묻자 “FTA에 대해 그동안 소상하게 다 말씀드렸기 때문에…”라면서 “오늘 표결이 끝났고 그래서 더 드릴 말씀이 없다.”고 말을 아꼈다. 질문이 빗발쳤지만 “제가 급히 가야 할 곳이 있다.”며 더이상 답변하지 않은 채 걸음을 옮겼다. 그러나 국회 본청 3층에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동안 표정은 굳어 있었고 승강기에 타서는 한 손을 이마에 얹은 채 고개를 숙였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1-11-2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