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공천 갈등’ 피할 수 있나

한나라, ‘공천 갈등’ 피할 수 있나

입력 2011-11-27 00:00
업데이트 2011-11-27 1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완전국민경선제ㆍ’나가수’ 방식 등 거론 ‘지도부 공천권 내려놓기’ 대두

한나라당이 ‘공천 개혁’이라는 휘발성 강한 난제에 직면했다.

지난 18대 총선 공천 시 친박(친박근혜)계에서 ‘보복 공천’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극심한 공천 후유증을 겪은 한나라당으로서는 공천 갈등을 피할 묘수를 찾는 게 급선무다.

나아가 내년 총선에 앞서 등 돌린 민심을 되돌리려면 밀실공천, 나눠먹기 공천 등 구태를 차단할 대대적 공천 개혁을 통해 ‘새로운 한나라당’으로 거듭나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여기에 ‘공천 물갈이론’이 잠복해 있다는 점에서 29일 쇄신 연찬회를 시작으로 공천 논쟁은 격화될 전망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도부-공천권 분리’가 공천 개혁의 첫 원칙으로 부상하고 있다. 유승민 원희룡 남경필 최고위원은 2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도부-공천권 분리’ 필요성에 한목소리를 냈다.

지도부 스스로 공천권을 내려놓음으로써 특정 세력의 공천 전횡과 함께 계파ㆍ세력간 나눠먹기를 방지한다는 것이다. 당 지도부에 요구되는 ‘희생ㆍ헌신’의 한 방법으로도 비칠 수 있다.

서울시장 보선 참패로 위기를 맞은 ‘홍준표 체제’가 공천 갈등으로 다시 벼랑 끝에 서는 것을 막는 방안이라는 관측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누가 어떻게 공정ㆍ투명한 공천을 실천에 옮기느냐’는 숙제가 여전히 남는다.

또한 ‘지도부-공천권 분리’에도 현행 당헌당규는 최고위원회의의 공천심사위위원회 구성권 및 공심위 결정에 대한 의결권을 명시하고 있어 지도부의 ‘공천 입김’ 가능성은 열려있는 상태다.

지난 18대 총선 공천 악몽이 남아있고, 계파 화합이 불완전한 상태라는 점에서 공정한 공천의 틀을 만드는 과정에서 지도부 내 또는 계파 간 ‘의심의 눈초리’를 동반한 격론이 벌어질 수도 있다.

유승민 최고위원은 지도부가 공천권을 내려놓는데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그 전제조건으로 “공천 개혁을 제대로 할 수 있는 공정한 기준ㆍ원칙ㆍ절차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경필 최고위원은 “지도부는 큰 공천 원칙, 당의 방향과 정책, 어떤 인물을 영입해야 하는지 등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원희룡 최고위원은 한나라당 단독의 완전국민경선제 및 ‘나가수’(나는 가수다)와 같은 전문 패널 심사 등으로 공천하고, 최고위가 그 결과에 승복하는 절차를 제시했다.

다만 지역 유권자 누구나 후보 선정 과정에 참여하는 완전국민경선제를 놓고 경선 후유증, 여야 같은 날 개최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발생할 역선택의 문제 등을 우려한 반대 의견이 만만치 않다.

한때 당 공천개혁특위가 이 같은 완전국민경선제를 공천개혁안으로 제시했으나, 당론으로 채택되지 못한 것도 이 때문이다.

공개 오디션ㆍ평가 방식의 선발을 택하더라도 전문 패널 구성을 둘러싼 논쟁이 불거질 수 있다.

일각에서는 최고위에 ‘비토권 제도’를 도입, 전문 패널이든, 공심위원이든 공천 작업에 참여할 인사 한명 한명을 사실상 최고위원 만장일치로 선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 관계자는 “당헌당규 개정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며 “따라서 당 지도부와 당당히 맞설 수 있는 강직한 인사를 공심위원장으로 하거나, 당 지도부가 ‘공심위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정치적 선언을 하는 것 외에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