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형 비대위·실무형 당직 인선 유력

박 전 대표 측 관계자는 16일 비대위원 인선 기준과 관련, “(박 전 대표가) 이렇다 할 언급은 없었다.”고 전제하면서도 “원칙은 소통과 다양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꼽았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표 주변에서는 당내외 인사가 비대위원으로 각각 절반씩 참여하는 방안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는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요구해 온 ‘비상국민회의’ 구성 방식과도 맥이 닿아 있다.
특히 외부 인사 중에서는 정치·이념적 색채가 강한 인사보다는 계층·연령별 대표성을 갖춘 인사가 ‘영입 1순위’가 될 전망이다. 문제는 한나라당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20~40대를 대변해 줄 인사를 찾아낼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때문에 비대위 출범과 동시에 인선을 완료하기보다는 시간을 두고 영입 작업을 벌일 가능성도 있다.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를 주재하면서 야당의 12월 임시국회 등원을 촉구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홍준 정책위 부의장, 이주영 정책위의장, 황 원내대표, 이혜훈 사무총장 권한대행.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與 “야당 임시국회 등원하라”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를 주재하면서 야당의 12월 임시국회 등원을 촉구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홍준 정책위 부의장, 이주영 정책위의장, 황 원내대표, 이혜훈 사무총장 권한대행.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를 주재하면서 야당의 12월 임시국회 등원을 촉구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홍준 정책위 부의장, 이주영 정책위의장, 황 원내대표, 이혜훈 사무총장 권한대행.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비대위는 원칙적으로 위원장을 포함해 최대 15명까지 참여할 수 있다. 당의 최고의결기구인 최고위원회의가 9명인 점을 감안하면 9~15명 사이에서 최종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당직 인선에도 관심이 쏠린다. 비대위가 당 쇄신의 방향을 결정하는 ‘선장’이라면 이를 실무적으로 뒷받침하는 ‘조타수’가 당직자들이기 때문이다.
현재 당 대표 비서실장과 대변인, 사무총장 등 핵심 당직 세 자리는 홍준표 전 대표와 함께 물러나면서 공석이 됐다. 정두언 의원이 한 달여 전 사퇴한 여의도연구소장도 빈자리로 남아 있다. 박 전 대표는 인치(人治)보다 시스템을 중시하는 만큼 물갈이 인사보다는 채워 넣기 방식이, 거물급 인사를 앉히기보다는 실무형 인사를 중용하는 형태가 유력해 보인다.
비대위와 당직 인선 문제에서 남은 변수는 친박계다. 박 전 대표 입장에서는 탕평 인사를 내세우면서 친박계만 일방적으로 배제하거나 희생을 강요할 수는 없다. 당내 최대 세력을 지닌 친박계가 비대위와 당직 참여를 전면 거부할 경우 ‘인재풀’이 협소해질 수밖에 없다는 점도 고민거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친박계 핵심 의원을 중심으로 박 전 대표에게 정치적 부담을 덜어 주는 동시에 선택의 폭을 넓혀 준다는 차원에서 ‘계파 해체’ 선언과는 별개로 ‘백의종군 선언’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1-12-1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