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돈봉투 사건’ 계기 대대적 물갈이

박근혜, ‘돈봉투 사건’ 계기 대대적 물갈이

입력 2012-01-10 00:00
업데이트 2012-01-10 1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헌.당규 지켜야”..인적쇄신 예고, 부적격자 솎아낼 듯 비례대표 강세지역 배제 통해 외부인재 영입 추진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9일 ‘당헌ㆍ당규 강력 준수’ 방침을 천명하면서 대재적인 총선 물갈이가 예상된다.

박 비대위원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당헌ㆍ당규를 칼같이 지켰으면 한나라당이 이렇게 되지 않았을 것이다. 당규에만 있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있다면 지켜야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논란을 야기한 ‘전대 돈봉투’ 사건을 비롯해 향후 각종 비리나 부적절한 일에 연루된 이들에 대해 당헌ㆍ당규에 따른 일벌백계의 처벌’을 예고하는 동시에, ‘공천 배제’ 방침을 시사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현재 한나라당 당규 제 9조는 공직후보자 부적격 기준으로 11가지 사항을 정하고 있다.

우선 당적을 이탈ㆍ변경한 경우 그리고 두 곳 이상의 당적을 보유한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와 함께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재판 계속 중에 있는 자 ▲후보등록 서류에 허위사실을 기재한 자 ▲파렴치한 범죄 전력자 ▲부정·비리 등에 관련된 자 ▲탈당·경선불복 등 해당행위자 ▲유권자의 신망이 현저히 부족한자 등도 ‘공천 부격적자’인 셈이다.

박 비대위원장은 지난 2006년 당 대표 재임시 치른 ‘5ㆍ31 지방선거’ 당시에도 성추문 등 파렴치한 범죄 전력자를 공천하지 않은 바 있다.

기존 당규를 적용할 경우, 불법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기소돼 항소심까지 벌금형이 선고된 A의원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뒤 지난해 10월 벌금형 선고유예 판결을 받은 B, C, D 의원이 공천을 받을 수 없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와 함께 ‘유권자의 신망히 현저히 부족한 자’ 규정에 따라 교체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현역 의원도 공천에서 배제될 수 있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당이 누란의 위기에 처한 비상위기 상황임을 감안, 향후 비대위가 더 강력한 ‘공천 부적격’ 조항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와 함께 비례대표 의원을 한나라당 강세지역에 공천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비대위가 정한 것도 ‘박근혜식 인적쇄신’과 연결되는 대목이다.

비례대표를 당 강세 지역인 수도권 우세 지역과 영남 지역에 공천하지 않는 것은 외부인사 영입을 보다 쉽게 하려는 방안인 만큼, 지난해 말 “인재들이 모여들게 하는 것에는 우리들의 희생도 있지만, 이래야지만 한나라당을 믿어줄 것”이라는 박 비대위원장의 언급과 맥이 닿아있다는 해석이다.

한 친박(친박근혜)계 관계자는 “현 정부에서는 당 운영이 당헌ㆍ당규와 같은 시스템이 아니라 소수 몇 명만의 결정에 의해 운영됐다는 지적이 많았다”면서 “민감한 공천 문제부터 박 비대위원장의 언급대로 당헌ㆍ당규에 충실히 따른다면 인적 쇄신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