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이 책임질 사안이 아니다”
CNK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한 감사원 감사 결과가 발표된 후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책임론이 27일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데 대해 외교부의 분위기는 단호했다.
CNK 주가조작 의혹의 발단이 된 보도자료가 외교부를 통해 나갔고, 이로 인해 좀 더 신중히 업무를 처리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포괄적 책임론에는 공감하지만, 기본적으로 CNK의혹은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 등 극소수 직원의 개인적 비위라는 것이다.
외교부의 이런 분위기에는 CNK의혹 자체가 사실상 ‘총리실발(發)’이란 인식도 깔렸다.
2008년 5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총리실 외교안보정책관으로 자원외교 업무를 하면서 CNK 업무도 취급했던 김 대사가 그 일을 외교부로 가져와서 벌어진 사단이라는 판단인 것이다.
정치권에서 박영준 전 총리실 국무차장을 겨냥해 제기된 ‘정권실세 배후설’도 외교부 내의 이런 인식에 기여하는 모습이다.
자원외교를 총괄하는 총리실에서 의지를 보이니 외무공무원인 김 대사도 추진력을 갖고 업무에 임한 것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외교부의 한 직원은 27일 “솔직히 김 대사가 본인 혼자 했겠느냐”면서 “위에서 의지를 보이니 열심히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의 조직적 위기감도 장관 책임불가론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딸 특채 파동으로 전임 장관이 물러난 마당에 현직 장관까지 CNK의혹으로 불명예 퇴진하면 대외적으로 한국 정부를 대표하는 외교부 조직이 “풍비박산될 수 있다”(당국자)는 것이다.
한 고위 간부는 “외교 현안이 산적한 이 마당에 다 날리면 누가 외교를 하느냐”면서 “외교부가 망하면 한국 외교도 망한다”면서 책임론 확산에 우려를 표시했다.
김 장관의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는 발언과 관련해서도 외교부측은 ‘원칙적 의미’일 뿐이라며 본인의 거취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책임감을 갖고 조직을 추스르고 외교부를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으로 꼭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에서 김 장관이 직원들에게 ‘책임’ 문제를 언급했다는 것이다.
실제 김 장관은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고 말한 뒤 “앞으로도 비위사건에는 절대 온정이 없다”면서 조직 쇄신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가 보도자료 배포나 장관 직속의 대사실 시스템을 개편하려는 것도 이런 장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
CNK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한 감사원 감사 결과가 발표된 후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책임론이 27일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데 대해 외교부의 분위기는 단호했다.
CNK 주가조작 의혹의 발단이 된 보도자료가 외교부를 통해 나갔고, 이로 인해 좀 더 신중히 업무를 처리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포괄적 책임론에는 공감하지만, 기본적으로 CNK의혹은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 등 극소수 직원의 개인적 비위라는 것이다.
외교부의 이런 분위기에는 CNK의혹 자체가 사실상 ‘총리실발(發)’이란 인식도 깔렸다.
2008년 5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총리실 외교안보정책관으로 자원외교 업무를 하면서 CNK 업무도 취급했던 김 대사가 그 일을 외교부로 가져와서 벌어진 사단이라는 판단인 것이다.
정치권에서 박영준 전 총리실 국무차장을 겨냥해 제기된 ‘정권실세 배후설’도 외교부 내의 이런 인식에 기여하는 모습이다.
자원외교를 총괄하는 총리실에서 의지를 보이니 외무공무원인 김 대사도 추진력을 갖고 업무에 임한 것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외교부의 한 직원은 27일 “솔직히 김 대사가 본인 혼자 했겠느냐”면서 “위에서 의지를 보이니 열심히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의 조직적 위기감도 장관 책임불가론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딸 특채 파동으로 전임 장관이 물러난 마당에 현직 장관까지 CNK의혹으로 불명예 퇴진하면 대외적으로 한국 정부를 대표하는 외교부 조직이 “풍비박산될 수 있다”(당국자)는 것이다.
한 고위 간부는 “외교 현안이 산적한 이 마당에 다 날리면 누가 외교를 하느냐”면서 “외교부가 망하면 한국 외교도 망한다”면서 책임론 확산에 우려를 표시했다.
김 장관의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는 발언과 관련해서도 외교부측은 ‘원칙적 의미’일 뿐이라며 본인의 거취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책임감을 갖고 조직을 추스르고 외교부를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으로 꼭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에서 김 장관이 직원들에게 ‘책임’ 문제를 언급했다는 것이다.
실제 김 장관은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고 말한 뒤 “앞으로도 비위사건에는 절대 온정이 없다”면서 조직 쇄신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가 보도자료 배포나 장관 직속의 대사실 시스템을 개편하려는 것도 이런 장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