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이정희·야권연대 흔든 김희철, 사퇴해야”

심상정 “이정희·야권연대 흔든 김희철, 사퇴해야”

입력 2012-03-24 00:00
수정 2012-03-24 1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합진보당 심상정 공동대표는 서울 관악을 야권단일후보 이정희 공동대표가 여론조사 조작의혹으로 후보직을 사퇴한 것과 관련, “이정희 대표를 흔들었고 경선 불복으로 야권연대를 흔든 김희철 의원은 사퇴하는 것이 정치 도의상 마땅하다”고 말했다.

심 대표는 지난 23일 오후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 “김희철 의원은 이미 탈당해서 (무소속 후보)등록을 했지만 응분의 책임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가 후보직을 내놓은 것에 대해서는 “이 대표는 야권연대의 성공을 위해 십자가를 짊어지는 고뇌의 결단을 한 것”이라며 “헌신과 희생의 마음이 아니었다면 할 수 없는 그런 결단을 했다”고 평가했다.

또 “모든 것을 짊어지고 견디고 결정해야 될 역할은 이 대표의 몫이었기 때문에 무척 고독하고 외로웠을 것”이라며 “좋은 결정을 해줘서 정말 고맙다는 것 외에 드릴 말씀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가 사퇴하기 전날 밤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과 어떤 대화를 나눴냐는 질문에는 “야권연대의 취지를 살려서 이번 총선을 승리할 수 있는 방법, 또 정치인 이정희의 의미 있는 선택 등 측면에서 진솔한 조언이 있었을 것이라고 본다”며 “그런 것들이 이 대표가 결단하는데 참고가 되지 않았겠나”라고 답했다.

한편 이 대표의 사퇴는 관악을 야권단일화 여론조사 경선이 시작된 지난 17일 이 대표 선거대책본부 소속 보좌관 2명이 당원들에게 ‘지금 ARS 60대로 응답하면 전부 버려짐. 다른 나이대로 답변해야함’ 등 내용이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대량 전송한 데서 비롯됐다.

경선에서 패한 민주당 김 의원은 “이 대표가 여론조사를 조작했다”며 경선에 불복, 탈당 후 무소속으로 관악을에 출마했다. 이 문제로 야권연대 전반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자 이 대표는 23일 후보직을 사퇴했다.

이 대표가 사퇴한 직후 통합진보당은 관악을 출마자로 이상규 전 민주노동당 서울시당 위원장을 결정했다. 민주당은 이 전 위원장을 야권단일후보로 인정하며 따로 후보를 내지않기로 했다.

이로써 관악을 총선은 야권단일후보인 이 전 위원장과 무소속 김 의원, 새누리당 오신환 후보의 3자 구도로 펼쳐지게 됐다.

뉴시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7일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을 방문, 진행 중인 정비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가래여울마을은 상수원 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최근 시민들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안전한 이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박 의원은 작년부터 여러 차례 현장을 찾아 시민 불편 사항을 청취하고 개선책 마련에 힘써왔다. 박 의원은 “가래여울마을 한강변은 강동구의 소중한 자연환경 자산으로,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과 생태환경 보전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라며 “최호정 의장님과 함께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자연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 점검에는 미래한강본부 관계자들도 함께 참여해, 한강변 접근성 개선과 안전 강화를 위한 현실적인 대책 마련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주민 의견을 중심으로 가래여울 한강변 정비를 위해 힘써온 박 의원은 “강동구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시민들이 안심하고 한강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