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조사처 “담뱃값 물가상승폭 자동연동 필요”

입법조사처 “담뱃값 물가상승폭 자동연동 필요”

입력 2012-10-03 00:00
수정 2012-10-03 1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회 입법조사처는 3일 흡연율 감소를 위해 담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며, 담뱃값을 매년 물가상승폭과 자동 연동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입법조사처는 이날 ‘국가 금연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보고서에서 연구 결과를 인용해 “2020년까지 남성 흡연율을 30% 이하로 감소시키려면 내년부터 가격을 최소 2천원 이상 인상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제시됐다”고 밝혔다.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22개국 중 한국의 담배 가격은 가장 싸며 남성의 흡연율은 44.3%로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입법조사처는 “담뱃값 인상이 저소득층의 부담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궁극적으로 담배 소비 감소를 통해 가계의 의료비 지출을 줄이고 노동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금연정책의 실효성 높이는 방안으로 담배 포장지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저타르’, ‘라이트’, ‘마일드’ 등 잘못된 정보를 심어줄 수 있는 문구사용을 금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입법조사처는 나아가 “법령상 담배의 정의에 전자담배를 포함, 현재 추진 중인 궐련담배 관련 각종 규제 등을 전자담배에도 적용해야 한다”며 “홍보를 위한 담배회사의 사회ㆍ문화행사 후원에 대해서도 규제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