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정책노선ㆍ정체성 재정립 요구 봇물

민주, 정책노선ㆍ정체성 재정립 요구 봇물

입력 2013-01-02 00:00
수정 2013-01-02 1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대위ㆍ전대 과정서 대선책임론 놓고 격론 예고

민주통합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출범을 앞두고 당의 정책 노선이나 정체성을 재확립해야 한다는 요구가 분출하고 있다.

당의 정책 노선이나 총체적 전략 부재가 작년 총선과 대선에서 잇따라 패배한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자성론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며 비대위에서 이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경향신문이 현대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지난달 28~29일 전국의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신뢰도 95%, 오차 ±1.96%포인트)에서 민주당의 최우선 과제로 정책 등 노선재정립이 41.7%로 가장 높게 나온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대선패배 원인 분석과 책임론은 비대위 내부의 토론 과정은 물론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서 한층 격화될 가능성이 높아 계파 간, 세력 간 당권투쟁의 쟁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작년 총선부터 시작된 민주당의 지나친 ‘좌클릭’이 국민적 안정감을 약화시키고 수권정당의 이미지를 떨어뜨렸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중도층이 많은 수도권, 그리고 10년전 민주당을 지지했던 50대 유권자들이 등을 돌린 원인중 하나라는 것이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민주당은 중도개혁으로 우클릭해야 한다”며 “합리적 개혁이나 합리적 보수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학용 의원은 “중도층을 잡지 않고는 정권을 잡을 수 없음에도 너무 좌쪽으로 기운 것 아닌가 싶다”며 “경제사회 분야에서 좌측으로 기울더라도 안보 분야에서는 중도우파 정도의 관점을 가져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강기정 의원은 “선거 때 중도 표를 잡지 못했다고 해서 진보 노선을 우측으로 가야 하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다만 국민이 민주당의 정강정책이 안정감과 신뢰감이 부족하다고 느낀다면 어떻게 보완할지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재협상과 제주 해군기지 건설 문제를 둘러싸고 당내 강경한 목소리에 휘둘려 우왕좌왕했다는 비판론이 나온다. 특히 야권연대에 집착하면서 민주당이 금도를 넘어섰다는 쓴소리도 제기됐다.

최민희 의원은 “한미FTA의 큰 틀은 참여정부 때 이뤄진 것이고, 해군기지에 대해서도 민주당의 태도가 모호했다”고 지적했고, 한 초선의원은 해군기지 문제로 예산안 처리가 해를 넘긴 것에 대해 “이 문제가 국가 예산을 뒤흔들만한 것인가 싶다. 우리는 정당이지, 시민단체가 아니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강기정 의원은 “국민은 민주당이 안보ㆍ치안 정책이 불안한 정당처럼 보는 것같다”며 “한미FTA를 비롯한 대외 개방정책 등 경제정책도 재고할 부분이 없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야당 귀족주의’에 빠져 서민과 중산층의 삶으로부터 괴리됐다는 강도높은 자성론까지 나왔다.

우원식 원내 수석부대표는 “10년 전 우리를 지지한 40대가 50대가 됐는데 그분들의 지지를 잃었고, 우리가 늘 이야기하는 200만원 소득 이하의 서민 지지를 받지 못했다”며 “책상머리에 앉아서 관념적으로 사고하고 생활정치, 맞춤형 정치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반성했다.

정책노선보다 전략, 조직, 메시지 등 선거 전반에서 실패한 부분을 더욱 뼈아프게 생각해야 한다는 문제제기도 있었다.

최민희 의원은 “정강정책이나 이념의 문제로만 치환할 것이 아니라 계파 갈등으로 대표되는 적전분열, 승복하지 않는 문화, 중도 우파를 끌어안지 못한 부분을 반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원식 의원은 “대충 전당대회를 하고 나서 대선평가를 하자고 하면 옛날 모습 그대로일 뿐”이라며 “누가 비대위원장을 맡든 대선 평가위원회를 잘 만들어 민주당 상을 어떻게 그릴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