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장관 내정자 겨냥 전방위 의혹 공세

野, 장관 내정자 겨냥 전방위 의혹 공세

입력 2013-02-21 00:00
수정 2013-02-21 1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야권은 21일 박근혜 정부의 초대 장관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전방위 의혹 공세에 나섰다.

증여세 탈루, 무기거래업체 근무 등 의혹에 휩싸인 김병관 국방부장관 내정자에 대해서는 사단장 시절 공사 리베이트 수수 의혹 등이 추가로 제기됐다.

민주통합당 김진욱 부대변인은 논평에서 “’눈덩이 의혹’, ‘의혹 백화점’, ‘양파껍질’로 표현된다”며 “새 정부 출범의 짐이 돼 당선인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그간 쌓아온 최소한의 명예를 지키는 길은 용퇴뿐”이라며 김 내정자를 압박했다.

박홍근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서남수 교육부장관 내정자가 병역신체검사 당시 색맹과 턱뼈 장애를 이유로 방위로 복무했다”며 “그러나 공무원 임용 때는 일반생활에 큰 불편이 없는 ‘적록색약’으로 기록됐다”며 병역 기피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서 내정자 측은 “시력 때문이 아니라 턱관절 이상으로 보충역 판정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또 서 내정자가 차관 시절 교육부 감사를 받았던 한 교육재단에 지난해 고문으로 취임, 강연료 명목으로 1천270만원을 받은 것에 대해 ‘전형적인 전관예우’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진보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서 내정자가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 차관 시절 정치후원금 10만원을 납부했다”며 “국가공무원이 정치후원을 하는 것은 명백한 국가공무원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 내정자는 지난해 2월 어머니에게서 2억원을 빌린 뒤 장관에 지명된 다음인 지난 18일에야 차용증을 쓴 점이 도마 위에 올랐다.

남윤인순 의원실 측은 “차용할 당시 조 내정자에게는 충분한 현금이 있었다고 판단되는데 차용한 돈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