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정치 기득권화… 국민에게 편협한 시각 강요”

“진보정치 기득권화… 국민에게 편협한 시각 강요”

입력 2013-06-17 00:00
수정 2013-06-17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회찬 진보당대표 인터뷰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는 16일 “2004년 민주노동당이 10석의 의석을 차지하며 원내에 처음 진출한 뒤 진보정치가 기득권화했다”고 반성하면서 “그동안 북한에 대한 편향된 시각이나 내부의 민주주의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등 여러 알력관계를 노출하면서 국민들의 신망을 잃어 왔던 과정”이라고 자책했다. 그러면서 “진보정당이 지난 10년간 국민들에게 편협한 진보 진영의 시각을 강요해 왔다”고 진단했다.

이미지 확대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
노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진보정의당사에서 서울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북한의 비핵화나 인권 등을 비판해야 할 때 비판하지 못했다”면서 “내세운 구호는 서민을 위한 정당이라고 하면서 실제로는 조직화된 사람, 힘센 사람들을 옹호하는 것처럼 했다. 앞으로 조직 노동자보다는 미조직·비조직 노동자들로 옮겨서 그들을 진정으로 대변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이어 진보정당들도 기득권에 안주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는 것에 동의하면서 “국민들의 지적에 대해 받아들이기보다는 국민이 몰라서 그렇다는 식으로 한 측면이 꽤 있다”면서 “국민들을 내부 패권경쟁의 먹잇감으로 여겼고 그래서 국민들이 싸늘해졌다. 모든 나라의 진보정당을 보면 국민에게 이해도, 수용도 안 되는 오만과 독선에 빠졌다가 도태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위기의식을 드러냈다.

이춘규 선임기자 taein@seoul.co.kr

김효섭 기자 newworld@seoul.co.kr

2013-06-1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