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정상회담 ‘北비핵화 원칙·대화’ 동시강조 전망

한중정상회담 ‘北비핵화 원칙·대화’ 동시강조 전망

입력 2014-06-30 00:00
수정 2014-06-30 1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중 양국이 내달 3일 열릴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와 관련, 원칙과 대화 기조가 같이 들어간 공동성명을 채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중 양국은 ‘어떤 경우에도 북한의 핵보유는 용인할 수 없다’는 원칙에 대해 같은 입장을 보이고 있고, 북한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한 대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양국은 정상회담의 의제·일정을 조율하기 위해 지난달 개최한 외교장관 회담에서도 “북핵 불용의 확고한 원칙 아래에 북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과 핵능력 고도화를 차단을 확보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대화 재개가 긴요하다”고 확인했다.

이번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도 ‘대화를 위한 대화는 안 된다’는 우리측 입장과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강조하는 중국측 입장을 같이 담은 내용이 기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의 4차 핵실험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던 5월과 한반도 정세가 약간은 달라졌다는 점에서 이번에는 대화 부분에 조금 더 무게가 실릴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보다 한국을 먼저 방문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배려해 중국측 관심 사안에 대해 ‘성의 표시’를 해야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 정부 소식통은 30일 “대화를 위한 대화는 안 한다는 우리의 기본 원칙을 지키면서도 대화 재개 문제와 관련해 이번에 시 주석의 면을 세워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차원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3월 헤이그 핵안보정상회담 계기에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앞으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을 이룰 수 있다는 보장이 있고 북핵능력 고도화 차단이 보장된다면 대화 재개와 관련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고 강조한 것이 이번 성명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정상회담 공동성명의 성격상 구체적인 표현보다는 포괄적인 형식으로 대북 메시지가 나올 개연성이 크다.

또 전날 스커드 미사일을 발사한 북한이 시 주석의 방한을 앞두고 도발 수위를 높일 경우 정상회담 공동성명의 톤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양국간 정상회담 공동성명 문안에 대해 협의 중으로 한반도 관련 사항은 통상 회담 직전에야 확정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